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원자의 모형

    구조론으로는 축과 대칭이 있어야 하므로 중성자가 축을 이룬다. 양성자와 전자가 두 날개가 된다. 활에 비유하면 중성자가 활몸이 되고 양성자가 활시위가 되어 전자라는 화살을 쏜다. 화살이 이리저리 날아다녀서 공간의 간격이 크게 벌어졌다. 공중으로 날아간 화살은 부메랑처럼 돌아와서 다시 활로 떨어지는데 다시 전자를 쏘아보내기를 반복해서 시간이 만들어졌다. 활시위와 화살을 매개하는 것은 빛이다. 빛이 남기는 것은 열이다. 빛이 공간의 진동이라면 공간의 진동이 물질의 진동으로 옮겨온 것이 열이다. 빛이 공간을 흔들어 전자라는 화살이 원자핵이라는 활에 의해 지속적으로 쏘아올려지는 즉...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5-11-09 23:28

  • 에너지 물질 공간 시간 정보

    사건의 원인에서 결과까지 한 단위는 질, 입자, 힘, 운동, 량 다섯 포지션을 가진다. 각각 우주의 에너지, 물질, 공간, 시간, 정보로 존재한다. 에너지는 유체의 성질로 상대를 붙잡는다. 물질은 강체의 성질로 상대방을 밀어낸다. 어떤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은 관측된다는 것이며, 관측된다는 것은 반응한다는 것이며, 반응한다는 것은 밀어낸다는 것이다. 그런데 붙잡아야 밀어낼 수 있다. 에너지의 의미는 1에 있다. 1의 계를 이루려면 유체의 성질을 가져야 한다. 외력의 작용에 전체단위로 대응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전체의 힘이 걸릴때까지 충분히 기다려야 한다. 우주의 근본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5-11-09 18:28

  • 2층과 1층

    모든 오류는 세상이 동적 존재임을 간과한 데서 일어난다. 사건은 현재 진행중이다. 모래시계는 여전히 모래를 떨어뜨리고 있다. 1층에서 인간이 성취한 것을 2층에서 떨어진 모래가 덮어버린다. 인간은 1층에서의 반짝 성공을 기뻐하지만 잠시후 2층이 개입하여 그 성공을 무효화시켜 버린다. 그렇다면? 2층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 2층은 동적이고, 가변적이고, 보다 부드러운 세계다. 1층은 낱낱이 떨어져 있지만, 2층은 서로 엮여 있다. 1층은 떨어져 있으므로 하나씩 격파하면 된다. 2층은 엮여 있으므로 전략을 써야 한다. 1층은 항우의 용맹으로 이기고 2층은 한신의 전략으로 이긴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5-11-09 18:00

  • 세상은 에너지의 우위로 작동한다

    ◎ 1은 사건 ◎ 2는 원인 → 결과 ◎ 3은 원인 → 의사결정 → 결과 ◎ 5는 입력 → 원인 → 의사결정 → 결과 → 출력 ◎ 포지션은 각각 ‘질, 입자, 힘, 운동, 량’에 해당한다. 숫자가 아닌 모형으로 이해해야 한다. 숫자를 나열하면 어디가 머리이고 꼬리인지 알 수 없다. 숫자는 그 속에 숨은 일처리의 방향과 순서를 담지 않으므로 헷갈리게 된다. 처음 에너지의 일의성에서 입자의 대칭성이 나온다. 입자의 대칭성에서 공간의 비대칭성이 나온다. 비대칭이 공간의 방향을 정하면 반복성이...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5-11-08 22:39

  • 존재의 최종근거

    처음의 처음 구조는 얽힘이다. 얽힘은 부드럽다. 부드러운 볏짚으로 새끼를 꼴 수 있다. 새끼줄로 멍석을 매거나 돗자리를 짜면 그렇게 만들어진 물건들은 견고하다. 그러나 매듭이 풀리면 다시 본래의 부드러움으로 돌아간다. 구조는 본래 부드러우나 구조가 얽히면 딱딱한 성질로 변하고 풀리면 다시 부드러움으로 돌아간다. ‘외유내강’이라 했다. 구조는 내면에 견고함을 갖춘 부드러움이다. 세상은 구조다. 세상의 근본은 부드러움이다. 구조가 아니면 알갱이다. 알갱이는 단위unit를 이룬다. 숫자 하나, 둘, 셋처럼 낱개로 나뉘어진 것이 단위다. 숫자 1은 똑부러지는 단위다. 남는 우수리가 없다. 그런데 과학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5-11-07 21:48

  • Previous Page
  • 213
  • 214
  • 215
  • 216
  • 217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