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의사결정학의 의미

    세상이 컴퓨터라면 구조는 소프트웨어다. 의사결정은 그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래밍이다. 왜 의사결정학인가? 대상이 통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수학은 계산한다. 그것을 통제한다는 말이다. 그냥 그런게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데서 그치지 않고, 그것으로 문제를 해결해 보인다. 의학은 사람의 몸 속에 오장육부가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데서 그치지 않고 병을 고쳐 문제를 해결한다. 문학은 시를 쓰고, 건축학은 집을 짓는다. 액션을 해보여야 한다. 거기서 고수와 하수가 가려지기 때문이다. 진짜와 가짜가 분별된다. 구조론은 세상을 설명하고 의사결정학은 시범을 보인다. 대상을 통제해 보일 때 학문은 완성된다. 통제한다는게 중요하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7-07 16:18

  • 의사결정학의 관점

    아래 글을 보완하고 있으며 중요한 내용이기에 다시 씁니다. - 구조주의는 세상을 구조로 바라보자는 사상이다. 서구의 구조주의 철학이 알려져 있지만, 그들의 사유는 구조 그 자체에 천착하고 있지 않다. 그들은 구조가 아니라 세상을 주목하고 있다. 그들에게는 세상을 다른 각도로 바라보려는 의도가 있으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 구조주의 관점을 동원한다. 관심사는 세상이고 구조는 뒷전이다. 구조주의에 앞서 마르크스주의가 있었다. 구조주의는 비주류의 입장에서 주류인 마르크스주의에 대항하려는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구조에 꽂히지 않았다. 순수하지가 않다. 야당이 여당의 실정에 기대는 것과...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7-06 23:24

  • 자기 둥지로 시작하라

    구조주의는 세상을 구조로 바라보자는 사상이다. 구조라 하면 서구 구조주의 철학을 떠올릴 수 있지만 그들은 순수하지 않다. 그들은 구조에 꽂히지 않았다. 구조가 아닌 다른 것에 주의가 쏠려 있다. 그들은 먼저 세상을 주목한다. 세상을 남들과 다른 각도로 바라보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조를 동원하고 있다. 구조주의 이전에 마르크스주의가 있다. 마르크스주의 역시 콘텐츠 빈곤의 문제가 있다. 그들은 애초에 다른 의도를 가지고 시작한다. 서구 구조주의가 마르크스주의를 극복하려는 노력이라면 마르크스주의는 기독교를 극복하려는 노력이다. 예컨대 창조론자의 진화론에...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7-05 23:27

  • 김동렬의 구조주의

    구조주의는 세상을 구조로 바라보자는 사상이다. 구조로 본다는 것은 어떤 대상 그 자체의 고유한 속성을 부정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는 인종주의다. 흑인의 몸 속에는 어떤 암흑의 기운이 있다는 식이다. 독일인의 민족성이 어떻고, 일본인의 민족성이 어떻고 하는 식이다. 구조로 본다는 것은 독일과 일본의 지정학적 구조를 보는 것이다. 지정학적 구조가 사회의 의사결정구조에 영향을 미친 것이 민족성이 된다. 독일인도 한반도에 태어나면 한국인의 민족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고유한 것은 없거나 그 비중이 약하다. 혹은 고유한 유전자가 있더라도 한거풀 더 벗겨 보면...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7-04 13:26

  • 무에서 유로 도약하라

    모든 존재가 궁극적으로는 물 위에 뜬 배와 같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정치든, 경제든, 문화든, 예술이든 그러하다. 생물이 그러할 뿐 아니라 물질의 세계 역시 그러하다. 양자의 세계다. 동적균형이 존재의 본질적인 모습임을 간파해야 한다. 우리가 존재로 여기는 것은 신체감관에 의지한 거다. 손으로 만져지면 거기 무언가 있다고 여긴다. 이는 사건의 원인이 아닌 결과측이다. 사건의 원인측에서 보는 훈련을 해야 한다. 거기서 어떤 의사결정이 일어나면 실제로 거기에 무엇이 있다. 여기에 양자적 존재, 불확정적 존재, 확률적 존재, 전혀 다른 세계의 모습이...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7-03 18:09

  • Previous Page
  • 297
  • 298
  • 299
  • 300
  • 301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