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이란 무엇인가? 학문에서 과학을 빼면 남는 것이 철학이다. 집에서 집을 빼면 집터가 남는다. 그것에서 그것을 빼면, ‘그것을 그것이게 하는’ 그것이 남는다. 그리고 그 남는 그것은 애초의 그것과 다르다. 무엇이 다른가? 주종관계가 다르다. 과학은 분명한 학문의 대상이 있다. 문학이면 문이 있고, 의학이면 의가 있고, 수학이면 수가 있으나, 철학은 철이 없다. 철학은 학문의 대상이 없다. 철학은 대상이 아닌 주체의 학문이기 때문이다. 물론 주체도 대상화 된다. 철학을 철학할 수 있다. 그러나 진짜가 아니다. 남의 시를 읊는 사람은 시인이...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3-05 22:06

  • 거대담론의 복원

    거대담론의 복원 구조론은 일체의 신념에 근거한 도덕적, 윤리적 당위와 작위를 배제하고 건조한 시선으로 시스템 내부의 에너지 메커니즘을 관찰한다. 더 나아가 시스템 바깥으로부터의 에너지 활동을 포함한 전체적인 사건의 완결성에서 최종적인 판단의 근거를 찾는다. 시스템은 내적으로 모순되고 불완전하나, 외적으로 살아서 호흡하고 부단히 성장함으로써 완전성을 지향한다. 거기에 우리가 찾아야 할 역동성이 있다. 모든 존재는 자체의 완성된 모습을 가지며, 그 완성을 향해 나아간다. 존재는 상호작용으로 나아가고, 생물은 진화로 나아가고, 자본은 성숙으로 나아가고, 인간은 사회화로 나아가고, 문명은 진보로 나아간다. 그리하여...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3-04 22:06

  • 니체와 톨스토이

    **니체와 톨스토이** 페북에서 나온 이야기다. 구조론이 일부 니체의 영향을 받은게 아닌가 하는 물음이 있었다. 필자 입장에서는 불쾌한 이야기다. 구조주의 영향을 받았다는 말이 있을까봐 일부러 구조주의 철학자의 책은 읽지 않았다. 다만 인류학을 좋아해서 몇 권을 읽었는데, 나중 알고보니 슬픈 열대의 레비 스트로스가 구조주의 철학의 개조라는 것이었다. 그쪽으로 관심은 없고 우연의 일치는 있을 수 있다. 니체는 첫 인상이 안 좋았는데 한 마디로 궤변가다. 중딩때 염세주의였기 때문에, 이런 소피스트 아저씨들은 그 교만한 낯짝을 한 대씩 패주고 싶다는 생각이...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3-03 23:33

  • 세상의 모형

    세상은 무엇으로 되어 있을까? 구조로 되어 있다. 구조란 무엇일까? 구조는 보이지 않는 에너지로부터 가시적인 형태를 유도하는 절차다. 세상은 보이는 형태와 보이지 않는 여러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형태가 있는 것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눈으로 볼 수 있거나, 손으로 만질수 있거나, 귀로 들을 수 있거나, 혀로 맛볼 수 있거나, 코로 냄새밭을 수 있다. 어떻든 작용해야 한다. 빛과, 소리와, 피부와, 혀로 대상에 작용하여 그 반작용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우리는 그 대상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상호작용하는 것은 형태가 있다. 그러나...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3-02 23:06

  • 프로이드의 의미

    어제 모임에서 나온 말을 정리했습니다. #### 구조론은 에너지에서 일의성을 얻고 다시 공간의 대칭과 시간의 대칭(시간의 대칭은 공간의 비대칭이다.)을 거쳐 물질로 전개하는 존재의 설정과정을 해명한다. 줄여서 ‘대칭≫비대칭’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존재가 상호작용에 의해 파악되며, 상호작용하려면 완전해야 하며 완전성은 에너지 순환 1사이클을 반영하며, 그것은 1회의 의사결정을 나타나며, 이에 도달하지 못할 때 존재가 불완전하며, 불완전하면 상호작용하지 않으며, 상호작용하지 못하면 존재가 아닌 것이다. 존재하려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완전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줄여서 과학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2-28 14:40

  • Previous Page
  • 320
  • 321
  • 322
  • 323
  • 324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