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러셀의 찻주전자

    러셀의 찻주전자 “지구와 화성 사이에 찻주전자 하나가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찻주전자는 너무나도 작기 때문에 현재의 과학 기술로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찻주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증명할 수가 없다. 그렇지만 우리는 반증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 찻주전자가 존재하리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옛 경전에 이것이 나와있다는 이유로 이 찻주전자의 존재를 믿으며, 믿지 않는 자를 배척한다면?(엔하위키미러)” 러셀이 기독교를 비판하며 지어낸 이야기다. 무신론자에게 신의 부재를 입증하라고 압박할 것이 아니라, 종교가 먼저 신의 존재를 입증해야 한다. 이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1-10 11:34

  • 완전한 모형을 품기

    완전성의 모형 “내 안에 변하지 않는 한 가지로 세상의 만 가지 변화에 대처한다.” (호치민) 세상의 변하지 않는 한 가지는 변화의 원리 그 자체다. 묻노니 호치민이 가진 것을 당신은 이미 얻었는가? 변화의 원리를 그대 안에 품었는가?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이 글을 읽어도 좋겠다. 변화는 공간이 아닌 시간 속에서 일어난다. 우리는 공간 속의 한 개나 한 마리, 혹은 한 사람을 잘 다루지만, 시간 속의 한 사건, 한 기승전결, 한 살이를 잘 다루지는 못한다. 호치민에게 있고 그대에게 없는...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1-09 17:21

  • 존재의 원형

    2와 1로 모두 설명할 수 있다. 무언가를 안다는 것은 2의 대칭구조 안에서 성장하고 진보하는 1의 방향성을 안다는 것이다. 마주보는 공간의 대칭 2를 일직선인 시간의 대칭 1로 바꿈으로써 가능하다. 모형을 통한 시각화가 중요하다. 비유하면 결혼은 1이다. 부부는 2다. 가정은 3이다. 부부 2 사이에 아기 1이 있으면 가정이라 할 수 있다. 아기가 바퀴축이 되어 부부를 붙잡고 있는 모형이 그려진다. 다른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어떤 대칭되는 둘이 무언가 하나를 공유함으로써 서로를 구속할 때 그것이 입자다. 그러나 이는 관측자인...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1-08 18:01

  • 운명을 디자인하기

    **운명과 자유의지** 자유의지가 없다는 말과 자유의지가 있다는 말은 완전히 같다. 자유의지가 없는 이유는 인간이 환경과 운명에 지배되기 때문이다. 자유의지가 있는 이유는 환경과 운명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없다’와 ‘있다’는 대칭이다. 없으면 있고 있으면 없다. 틀렸다. 있음이 먼저다. 있는 것은 없어질 수 있으나, 없는 것은 있어질 수 없다. 이는 에너지의 방향성이다. 방향성을 아는게 아는 것이다. 운명은 만남으로 바꿀 수 있다. 그 만남은 능동적인 만남이어야 한다. 그러려면 자기 안에 에너지가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느냐는 물음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1-08 15:05

  • 교학사, 코레일, 김진표, 허지웅

    민주주의는 만장일치다. 한 명이 반대해도 안 되는 거다. 가수 김진표의 ‘아빠 어디가 시즌 2’ 출연논란을 예로 들 수 있다. 문제는 혼자 출연하는게 아니고 아기와 함께 출연한다는 거다. 본인은 그렇다 치고, 아이는 왜 아빠 잘못 만나서 욕을 먹어야 하느냐고. 참으로 철없는 행동이다. 본인이 스스로 철없다고 말하고 있다. 출연 안 하는게 철 드는 거다. 그거 모르겠는가? 혼자는 사私지만 둘이면 공公이다. 공이면 만장일치의 원칙이 적용된다. 가수가 콘서트를 한다면, 그 가수를 지지하는 사람만 가서 보는 거다. 거기서 욕설을 하든...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1-07 17:47

  • Previous Page
  • 327
  • 328
  • 329
  • 330
  • 331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