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특이점을 찾아라

    질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는 질이 그 자체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논하고 있기 때문일 터이다. 입자는 그냥 존재하여 있다. 손으로 가리킬 수 있다. 예컨대 물방울이라면 손으로 건드릴 수도 있다. 건드리는 순간 터져버린다. 곤란하다. 우리는 두 눈이 멀쩡하므로 물방울을 눈으로 볼 수 있지만 장님은 만져봐야 아는데 만지는 순간 물방울이 터져버려서 곤란하다. 그래서 질 개념이 필요한 거다. 사회의 모순은 주로 평등과 불평등에 대한 것이다. 조직은 평등해야 하면서도 동시에 불평등해야 한다. 평등하지 않으면 조직은 성립되지 않는다. 노예가 있다면 노예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10-23 17:04

  • 과학의 첫 단추

    **과학의 첫 단추** 구조론은 하나의 존재가 5회의 연속적 의사결정에 의해 성립한다는 이론이다. 세상은 의사결정단위들의 집합이며, 이러한 의사결정원리로 과학의 최종적인 근거를 삼아야 한다는 생각이 구조론이다. 자연에서는 구조다. 구조는 어떤 둘이 맞물려 하나로 행세하는 것이다. 이때 축 하나가 대칭된 둘을 동시에 통제하는 원리가 일의성이다. 둘이 하나가 되는 일의성에 의해 세상은 모두 연결된다. 둘이 하나가 된다는 것은 역으로 하나가 둘이 되는 것이며, 이를 전개하면 둘이 넷이 되고, 넷이 여덟이 되는 식으로 계속 펼쳐져서 세상을 망라하게 된다. 이를 추적하여...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10-21 23:07

  • 폭탄사랑 박근혜

    근혜 - “내가 댓글 덕분에 당선되었다고 보세요?” 국민 - “그러니까 당선과 상관도 없는 댓글을 왜 달았느냐구요?” 근혜 - “아니 내가 댓글을 달았다는 말인가요?” 국민 - “당연히! 바로 당신이 댓글을 달았소.” 이 사건의 본질은, 과연 누가 댓글을 달았는가이다. 명령권자가 누구인가다. 그렇다면 이렇게 되물을 수 있다. “과연 그런가? 정말로? 확실해? 박근혜가 알면서 사건을 방조한게 맞아?” 그런지 안 그런지는 후속조치를 보면 안다. 박근혜에게 책임이 없다면 벌써 이명박은 구속되어 있다. 지금 이명박이 백주대낮에 버젓이 돌아다니는 사실만 봐도 명백하다. 정치적...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10-21 14:23

  • 진화론과 진보론

    인류의 조상은 하나 http://me2.do/xYBYIiVY [세계일보] 시사리트윗에 썼다가 길어져서 다시 씁니다. 보통 상상하는 빅뱅모형은 ≫≪형이다. 이는 폭탄의 폭발모습을 보고 상상한 것에 불과하다. 이건 구조적인 모순이다. 빅뱅은 ≪≫형으로 일어나야 한다. 알껍질 2에서 참새 한 마리가 나온다. ≫≪형은 1에서 2로 가는 건데 깨져서 못쓴다. 쓸만한건 모두 ≪≫형이다. 우주는 자연법칙에 의해 통제되는 바 쓸만한 물건이므로 2에서 1로 가는 ≪≫형이다. 진화 역시 이 법칙을 따른다. ≫≪형으로 생장하는 것이 있는데 뻥튀기다. 그러나 뻥튀기 역시 전자렌지에 넣어야 하므로 결국은 ≪≫형이다. 반드시 포장을...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10-18 22:04

  • 진리를 추적하는 방법

    이 논의가 중요한 것은, 모든 사유의 출발점에 대한 논의이기 때문이다. 과학의 첫 단추를 어떻게 꿰느냐다. 근대과학의 출발점은 인과율이다. 인간은 인과법칙의 결과측에서 원인측을 바라본다. 원인은 입자로 가정된다. 입자는 쪼개질 수 없으며 내부에 고유한 속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 속성이 원인측을 구성하는 인자(Factor)다. 이러한 전제는 전부 틀렸다. 잘못된 가정법을 썼다. 어린이는 처음 크레파스로 그림의 세계에 입문한다. 24색 크레파스를 쓴다면, 24개의 입자가 처음부터 주어져 있다. 이를 조직하기만 하면 그림이 된다. 그러나 이는 초딩의 희망사항일 뿐이다. 그림은 스스로 만들어낸...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10-17 16:34

  • Previous Page
  • 339
  • 340
  • 341
  • 342
  • 343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