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구조란 무엇인가?

    구조란 무엇인가? 구조는 존재가 입자의 모습을 갖추기 전 처음 에너지로부터 사건을 유도하여 존재를 일으켜 가는 방식이다. 우리는 세상을 입자로 이해한다. 입자는 쪼개지지 않으며 입자 이전의 세계는 없다고 가정된다. 그런데 쪼개진다. 입자가 형태를 획득하기 이전의 세계가 있다. 입자 이전에 사건이 있고, 사건 이전에 에너지가 있다. 입자의 가정은 틀렸다. ‘쪼개지지 않는다’는 표현은 비과학적이다. 입자 이전의 세계로 올라서는 방법을 몰라서 얼버무린 표현이다. 서로 건드리지 말기로 암묵적인 합의를 하고 경계선을 그었다. 그 세계로 들어가는 방법은 개별적인 것에서 공통요소를 뽑아내는...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8-25 00:03

  • 정의와 평등

    정의와 평등 정의는 사건의 판단기준이고 평등은 판단의 결과다. 구조는 축core과 날개가 세트를 이루어 사건을 판정하는 스위치가 된다. 축은 비대칭이고 날개는 대칭이다. 정의는 축이 날개에 대해 가지는 비대칭성이다. 평등은 두 날개 상호간의 대칭성이다. 스위치는 ON과 OFF가 대칭을 이루며 사람은 버튼을 비대칭적으로 작동시켜 전류의 방향을 결정한다. 사건은 정의로 출발해서 평등으로 종결된다. 재판장의 판결이 정의면, 원고와 피고가 받는 처분은 평등이다. 정의의 임무는 사건의 통합을 통한 위험의 관리에 있다. 사회가 단계적으로 위험에 대한 대응수준을 높여가는 것이 정의다. ‘눈에는 눈,...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8-22 13:30

  • 진화론과 창조론

    -초고이므로 나중에 수정됩니다.- 진화론과 창조론 창조론은 없다. 이론은 진리에 근거하는 연역구조를 가져야 한다. 창조는 진리에 근거하지 않으므로 뒤에 ‘론’자를 붙일 수 없다. 창조라는 단어가 론論을 배척한다. 창조는 ‘창조하다’의 동사로 기능하며 이때 생략된 주어는 신神이다. 신神에 근거할 뿐, 이론에 근거하지 않으므로 창조론 개념은 성립될 수 없다. 신이 세상을 창조했다 할지라도, 신과 세상을 연결시키는 매개로서의 도구가 제시되어야 하고, 도구로부터 이론이 전개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 창조론은 이론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으므로 이론이 아니다. 비유하자면 용의자가 심문받고 있을 때 다른...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8-20 22:47

  • 신자유주의와 제 3의 길

    구조론사전(가칭)에 들어갈 내용에서 정치와 관련된 부분을 옮겨봅니다. 신자유주의와 제 3의 길 냉전시대에 나토진영은 자본주의 시스템 안에 일부 사회주의적인 호흡을 용인하였다. 반면 공산주의 시스템 안에는 지금의 중국과 같은 자본주의적 호흡이 없었다. 언제라도 비대칭행동이 대칭행동을 이긴다. 축은 날개를 장악할 수 있으나 날개는 축을 장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축을 장악하는 방법은 상대방의 주장을 일부 받아들여 선제대응하는 것이다. 곧 비대칭행동이다. 민중이 봉기하기 전에 출구를 열어 에너지의 응축을 막아야 한다. 노조의 활동 및 집회, 결사의 자유가 사회의 역동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8-19 14:18

  • 문재인과 안철수

    문재인과 안철수 한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밑바닥에서 개고생하지 않고 바로 당선된 예는 없다.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모두 한때 개고생을 했고 그 덕분에 전국적인 인물로 떠올랐다. 클린턴이나 오바마처럼 단 번에 성공한 사람은 없다. 이는 한국이 지리적으로 고립된 국가라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대중과의 정서적 교류를 통해 카리스마를 획득해 가는 절차가 있다. 좋은 현상은 아니다. 이런 식이라면 40대 기수는 나올 수 없다. 이 구조는 지역주의와 관련되어 있다. 지역주의를 인위적으로 깰 수 없다. 지역주의 역시 지리적 고립과 관계가 있다....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8-18 15:49

  • Previous Page
  • 347
  • 348
  • 349
  • 350
  • 351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