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작은 전체

    큐브를 맞추는 데는 한층씩 맞추는 방법과 한 면씩 맞추는 방법이 있다. 한층씩 맞추는 것이 연역이고 한 면씩 맞추는 것이 귀납이다. 한 층은 어쨌든 한 층의 전체다. 한 층의 네 면이 서로 엮여 있다. 엮여있는 작은 전체를 완성하고 그것을 계속 복제하면 된다. 작은 전체에서 큰 전체로 확장한다.이 방법이 만유에 공통되는 이상적인 문제해결의 방법이다. 반면 한 면씩 맞추면 새로운 면을 맞출 때 이미 맞춰둔 면이 움직여서 도로아미타불이 된다. 엮임이 없기 때문이다. 문제의 해결은 언제라도 엮임을 따라가야 한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5-24 11:58

  • 역설의 작동원리

    자투리 글입니다. 과학적 사회주의=의사결정구조주의 마르크스주의가 잘못된 이유는 과학을 표방할 뿐 실제로는 비과학적이었기 때문이다. ‘국가’는 추상적 관념이다. ‘국가가 소유한다’는 말은 성립될 수 없다. 유물론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사회는 의사결정에 의해 일의적으로 작동된다. 의사결정의 원리는 권權이다. 권리, 권력의 메커니즘으로 사회를 설명해야 한다. 사유는 있어도 공유는 없다. 공유라는 단어는 의미가 불명확한 관념이다. 의사결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공원은 의사결정하지 않는다는 전제가 붙어있다. 사회나 국가는 집단이고 집단의 구성원 숫자에 비례하여 의사결정은 어려워진다. 만약 원전에서 사고가 났다면 1분 안에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국가는...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5-23 18:27

  • 명상하는 방법

    지난 글을 일부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생각은 그냥 하는 것이 아니고 공식에 대입하여 풀어내는 것이다. 종이에 직관의 모형에 따른 포지션들을 순서대로 써놓고 빈 칸을 채우면 된다. 1 2=□다. 이 □ 안에 숫자를 채워넣어야 한다. 그러려면 공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아무도 공식을 가르쳐 주지 않는다. 불교에 공안이라는 것이 있다. 공부안독公府案牘의 줄임말인데 요즘말로는 공식이다. 수학공식처럼 모형을 정해놓은 것이다. 화두話頭라고도 한다. 역시 모형이라는 의미가 있다. 불교의 명상법이 일부 모형적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친절하지 않다.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5-22 23:45

  • 길바닥에 굴러다니는 황금들

    아무개 1 “제 주변에도 돈 없는데 빚을 내서라도 명품 지르는 애들이 많아요. 그런 애들이 나중에 버티다 버티다 안 되면 명품을 담보로 돈을 빌리죠” 아무개 2 “그 심정 이해합니다~ 사회가 그렇게 만들고 있으니 뭐~ 저도 압구정로데오역에서 내려 갤러리아 명품점 들렀다가 스톤아일랜드 자켓 하나 맘들어 가격 물어봤더니 1백9만원~ 뒤로 자빠진적이 있죠!! 더 웃기는건 자켓 속의 면티 가격표(24만5천원)이 자켓 가격표인줄 알고 진지하게 고민까지 했다능~” ### 페이스북에서 펌이다. 위 대화에 개입하자거나 대화를 평하자는건 아니고, ‘눈앞의 황금은 챙겨라’는 지난번 글을...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5-21 14:47

  • 사유의 표준모형

    표준모형의 자발적 대칭성 깨짐에 따른 힉스메커니즘 물질은 사물로 존재하지만 그 물질이 태어나는 과정은 사건이다. 사건과 사물은 존재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이룬다. 사물이 태어나는 과정도 존재에 포함시켜 생각하는 관점이 터득해야 할 모형적 사고다. 사건을 탄생시키는 것이 의미라면 물질을 탄생시키는 것은 질량이다. ◎ 사건 – 의미 ◎ 물질 – 질량 물질이 질량을 획득하는 과정을 해명하는 표준모형의 힉스메커니즘으로 사유의 모형을 설명할 수 있다. 반대로 물질 존재가 하나의 사건임을 알 수 있다. 사건은 엮임이다. 존재가 곧 엮임이라는 관점을 획득해야 한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5-19 16:01

  • Previous Page
  • 364
  • 365
  • 366
  • 367
  • 368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