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정답 - 적도 물 회오리 트릭

    제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첫째 구조론의 질이 우리 주변에서 흔히 관찰되는 자연현상임을 말하고자 함이며, 둘째 정치, 경제, 사회, 문화도 동일한 구조임을 말하고자 함입니다. 구조론의 질은 밀도인데 밀도는 가속도입니다. 밀도는 장의 성립을 전제로 하고 있고 그 장 안에서 균일하려고 합니다.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속도차가 성립되면 가속도가 형성됩니다. 두가지 부분을 관찰할 수 있는데 수도꼭지 끝 부분은 중력에 의한 가속도가 성립되어 갈수록 뾰족해 집니다. 바늘끝처럼 뾰족한 접점에서 충돌하므로 회전하게 되며 그 방향은 임의의 방향이고, 병만족이 적도에서 한...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1-07 23:44

  • 문제 - 적도 물 회오리

    이게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에도 방영된 모양인데 보나마나 거짓말입니다. 적도업자들이 먹고 살 요량으로 지어낸 생계형 거짓말인데 문제는 1) 위 수조실험에서 물회오리가 생기지 않는 이유는? 2) 다른 수조에서 물 회오리가 생기는 이유는? 힌트는 많은 사람들이 구조론의질 개념을 모르겠다고 말하는 이유가 질에서 입자로 변화는 과정을 모르기 때문이 아닌가 해서 질문합니다. 질에서 입자로의 변화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자연현상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광범위하게 나타납니다. 결론적으로 질 입자는 주변에서 흔히 보는 자연현상인데 이걸 본 적이 없다고...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1-07 16:07

  • 건축, 가구, 회화, 패션, 화장

    오래전에 박물관에 갔을 때 일이다. 다뉴세문경이 전시되어 있는데 단체관람 온 고등학생들이 지나가며 한 마디씩 한다. ‘뭐야? 청동거울이 뭐 이래? 얼굴을 비추어 볼 수가 없잖아.’ 농담인줄 알았는데 다들 그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다들 거울의 뒷면을 보고 헛소리를 하고 있었다. 왜 뒤집어볼 생각을 못하는가? 거울인데 얼굴이 비추어지지 않으면 당연히 뒷면이 아닌가? 이걸 꼭 말해줘야 아는가? 보시다시피 거울 앞면에는 아무 것도 없다. 구리거울은 녹쓸기 때문에 닦아줘야 한다. 거울을 닦으면 손의 압박에 의해 거울 뒷면의 무늬가 떠오른다. 앞면에 뒷면의 글자나...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1-06 23:18

  • 레미제라블의 미덕과 배덕

    레미제라블의 미덕과 배덕 상영중인 레미제라블이 영화는 잘 만들었지만(이런건 두 번 봐줘야 함), 원작인 위고의 장발장은 철학적 수준이 낮다. 위고가 원래 보수였는데 장발장을 쓰면서 점차 진보로 변해갔다는 설이 있다.(위고는 수구꼴통 나폴레옹 3세에게 핍박받았다. 장발장의 진보성은 박정희 2세 때문일지도.) 어쨌든 영화는 진보에 초점이 맞춰진게 다행이다. 그러나 바닥에 깔린 꼴통의 정서는 속일 수 없다. 위고는 끝까지 저급한 ‘품성론’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다만 거기서 벗어나려는 약간의 모색은 보여주었다는 점이 미덕이다. 장발장의 꼴통본성은 이 영화(소설이)가 선악구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데 있다....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1-06 14:23

  •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아래 질문에 대한 답입니다. 셀프 동영상 강의는 전체화면으로 보시거나 혹은 퀄리티 체인지를 눌러 화질을 480P로 높이는게 좋습니다. 이번에는 이태리가구와 스칸디나비아가구를 비교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이야기해왔던 아카데미즘과 인상주의, 일본식 대본소용 극화와 병맛만화, 봉건소설과 근대소설, 봉건의상과 현대의상, 봉건영화와 김기덕영화의 차이, 뽕짝과 현대음악의 차이, 일반가요와 싸이의 비쥬얼한 노래와의 차이와 같다. 한 마디로 상호작용이다. 가구란 무엇인가? 실용적이고 쓸모있는 가구는 가구가 아니다. 쓰레기다. 그런 가구를 쓰는 사람과는 말도 하지 마시라. 보나마나 일베충이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야지 벌레처럼 산대서야 되겠는가? 그렇다면 정답은? 한...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1-04 23:04

  • Previous Page
  • 386
  • 387
  • 388
  • 389
  • 390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