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의식에 단계가 있는가?

    “의식에 단계는 없다” 지난주 토론모임에서 나온 이야기다. 심리학에서 ‘의식의 단계’를 주장하는 학자가 있다고 한다. 의식에 ‘단계’는 없다. 의식은 깨어있음이다. 인간은 깨어있거나 잠들어있거나 둘 중에 하나다. 단계는 없지만 방향성은 있다. 우러러 하늘을 바라보는 사람이 있고, 돈 주울세라 땅만 바라보는 사람이 있다. 정신차린 사람도 있고, 한눈파는 사람도 있다. 거기에 긴장과 이완의 법칙이 있다. ‘의식의 단계’ 개념은 예로부터 있었다. 선각이니, 후각이 하며 계단을 나누는 명상그룹이 있고, 불교에도 말나식, 아뢰야식 하는 것이 있다. 구조론에도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11-05 19:22

  • 10월 31일 동영상 강의수첩

    ●우리가 도달해야 할 궁극은 깨달음이다. ● 깨달음은 미학이다. ● 미학은 학문의 상부구조건설이다. 과학은 미학의 하부구조다. (학문은 자연 대 인간의 근원적인 맞섬에서 유도된다. 곧 존재론 대 인식론이다.) ● 상부구조 건설의 의미는 통짜 덩어리인식에 있다. 하부구조는 에너지를 입혀서 대상과 짝지어져서 낱낱이 해체되어 있다. 학창시절 떼지어 몰려다니든 친구들도 제 짝을 찾아 결혼하면 흩어지듯이. ● 통짜 덩어리 인식은 자연의 완전성을 그대로 받아들임이다. ● 완전성은 통짜 덩어리로 세팅되어야 한다. 미학은 학문의 완전성을 세팅함이며 깨달음은 역시 자기 내부에서의 완전성을 세팅함이다. ●...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10-31 18:56

  • 신과 종교와 인간

    “**신과 종교와 인간” **‘개인적인 글입니다..구조론 게시판 양모님 글 참고.’ 신의 문제, 종교의 문제에 정면으로 도전해서 진지하게 생각하는 사람을 나는 보지 못했다. 다들 만들어져 있는 줄 뒤에 가서 서는 것이었다. 용기가 필요하다. 끝까지 생각을 밀어붙일 용기. 유물론자들은 존재의 근본을 생각지 않는다. 물질이 뭐지? 에너지는 뭐지? 시간과 공간은 뭐지? 답하지 않는다. 그들이 대타로 내세우는 최신 버전은 양자역학이다. 양자는 뭐지? 오리무중이다. 물질하고 관계없다. 물질로 도피하면 안 된다. 물질은 물질이고, 존재의 문제는 남아있다. 세계 앞에서 근본적으로 어떤 입장에 서고,...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10-28 17:56

  • 집값은 언제 떨어지는가?

    집값은 언제 떨어지는가? “서울 교통이 뚫리는 속도에 비례한다.” 경제는 생물이다. 생물 중에서도 성질이 난폭한 동물이다. 동물은 인간의 기대와는 반대로 움직이는 습성이 있다. 그러므로 동물을 잡으려면 속여야 한다. 그물은 저쪽에 쳐놓고 몰이는 이쪽에서 해야 한다. 경제는 역설이다. 언제나 그렇듯이 일반의 인식과는 반대로 움직여서 다수의 기대를 배반하곤 한다. 그러나 ‘경제가 반대로 움직이는 속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고 대비하면 역으로 경제를 예측할 수 있다. 반대쪽에 그물쳐놓고 몰이할 수 있다. 시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전성기 때의 그린스펀이라면 얼마든지 해낼...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10-28 00:33

  • 소실점의 소실점(업데이트)

    푹 담갔다가 꺼내기 ‘26일자 동영상 해설 수정판입니다’ -앞서 약간의 언급- 여러분은 지식이 만들어지고 있는 현장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만들어진 과거의 지식을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는 현장의 지식입니다. 그 최초의 현장을 체험하고 증언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지식에 대한 개념을 바꾸는 것입니다. 지식은 서구에서 수입되는 것도 아니고, 교과서에서 풀어내는 것도 아니고, 남의 책에서 인용하는 것도 아니고, 암기한 것을 리플레이 하여 들려주는 것이 아닙니다. 공자선생이 ‘학이시습지 불역열호’를 말할 때 그 학(學)은 타인 혹은 스승으로부터 배우는 것을 말하지는...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10-25 20:48

  • Previous Page
  • 546
  • 547
  • 548
  • 549
  • 550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