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아래 글에 부연하여..

    아래 글에 부연.. 근본 이 공간의 존재이유를 모르고 엉기는 분이 있다 싶어서 불필요한 몇 마디를 덧붙입니다. 누차에 걸쳐 말했지만.. 입 아프게 이런 소리를 반복해야만 한다는게 슬프지만.. 구조론이 아무리 바른말을 해도.. 강단학계나 재야떨거지나 그 프레임에 갇힌 부류는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아예 대화자체가 성립이 안 됩니다. 구조적이고 필연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사이트를 자주 찾아주시는 분 면면을 봐도 그렇습니다. 수학이나 경제학 혹은 이공계 출신으로 ‘구조체의 밸런스 원리’ 자체에 관심과 지식이 있는 분이 많고, 또 미술이나 예술 쪽에 종사하시는 분이 많고,...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05-20 23:02

  • 설경구 송윤아

    설경구와 송윤아 쓰레기들은 제발 이 사이트에 오지 마세요. 어이없는 일이 너무 많이 일어난다. 황석영, 김지하의 뻘짓 뿐이랴. 그야말로 유인촌이 황지우를 짓밟고, 깡패가 시인을 죽이고, 새들도 둥지를 떠나는 시대. 글쟁이가 붓을 놓고 속세를 등져야 하는 타이밍은 지금. 최진실의 죽음 이후 썼던 일련의 글 기억하시는지. 깊은 슬픔. 한국인의 수준낮음에 대해서. 참 할말이 없다. 얼척이 없다. 이런건 원래 안 통하는 거다. 꽉 막혔다. 말로 해결될 성질의 것 아니다. 문을 걸어 잠글 수 밖에. 나가라. 제발 이 사이트 방문하지...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05-20 17:31

  • 퇴계와 구조론

    18일 동영상 강의 해설입니다. 퇴계사상과 구조론 지난 겨울 퇴계를 비판하는 글을 여러 편 썼던 사실을 기억하실지. ‘퇴계혁명’이라는 책(김호태 저)을 권한 분이 있어서였는데, 그 분이 필자에게 책을 권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대략 살펴보았다. 책을 이야기하려는 것은 아니고.. 저자는 10년 이상 퇴계를 연구했나본데.. 내가 써도 그보다 낫겠다 싶으니… 퇴계에 대한 새로운 내용은 없고 기존의 비판을 재반박하는 형식.. 알맹이 없는 거다. 자기 주장을 내놓아야지. 남의 주장, 남의 사상, 남의 글 가지고 어쩌구 하며.. 가공무역식으로 중간에서 끼워팔기...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05-18 16:13

  •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이란 무엇인가? ‘18일 동영상강의 해설입니다’ ‘art’는 ‘잇다’, ‘arm’은 ‘이음’, ‘army’는 머리에 물건을 이듯 갑옷을 몸에 ‘인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예술은 서로 다른 별개의 둘을 하나로 이어주는 것이다. 한 때의 유행어 ‘예술한다’는 표현을 기억하시는지.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찍고’.. 남녀를 이어준다는 뜻이다. 예술은 사람과 사람을 잇는 것이며, 사람과 세상을 잇는 것이다. 예술은 또 팔(arm)과 같아서 서로 다른 두 사람이 만나서 악수하게 하는 것이며, 낯선 대상에게로 다가가 먼저 손을 내밀게 하는 것이다. 또 예술은 무기나 갑옷과 같아서 자기...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05-16 13:29

  • 구조론에서 현대성으로

    현대성이란 무엇인가? ‘12일 동영상강의 해설입니다’ 이 모든 논의들은 물론 여러분을 ‘깨달음’의 세계로 안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깨달음을 텍스트로 옮긴 것이 구조론이다. 문제는 텍스트가 가지는 본질적 한계다. 언어로는 전달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그래서 그림이 요청되고, 미학이 요청되고, 함께 어우러지는 쌍방향 소통이 요청된다. 텍스트로 기록된 이론부분을 소화하기 어려운 분들을 ‘이미지’의 지름길로 안내하려는 것이다. 이미지를 통해 바로 깨닫기다. 깨달음은 혼자 아는 것이 아니고 사회에서 실천되는 것이며, 그 실천은 인류의 집단지능, 선비그룹의 집단지성, 문명이라는 이름의 지적 네트워크 건설이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05-13 21:39

  • Previous Page
  • 564
  • 565
  • 566
  • 567
  • 568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