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이런저런 이야기

    이런 저런 이야기 이 나라가 이토록 정신없이 왔다갔다 하는 이유가 어디에 있겠는가? 철학의 빈곤 때문이다. 그런데 철학 따위를 어디에 쓴담. 철학은 도무지 쓸모가 없다. 그러므로 철학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모양 이꼴이다. 철학의 부재로 하여 치르는 국가적 비용이 돈으로 환산하면 얼마치가 되겠는가? 못해도 수백조원은 되겠지 싶다. 해마다 수조원씩 손실을 보고 있다. 시행착오, 우왕좌왕, 의사결정 실패에 따른 비능률에 비효율 엄청나다. 세계에서 철학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나라는? 독일이다. 유명한 철학자만도 수 십명 된다. 칸트, 헤겔, 니체, 쇼펜하우어, 하이데거, 라이프니쯔,...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8-11-30 00:33

  • 화두는 그림이다

    제목 요즘 나의 심사가 곱지 않다. ‘구조론이 어렵다’는 문제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다. 이거 풀어야 한다. 구조라는 것은 실마리를 잡고 줄줄 따라가다 보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저절로 다 풀리게 되어 있으므로 구조인데 어렵다면 난감하다. 그것은 실마리를 못잡았다는 이야기가 되기 때문이다. 화두를 들고 명상한다. 왜? 화두가 즐거움을 주기 때문이다. 화두 혹은 선문답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건 간단한 아이디어에 불과하다. 그것이 아름답다. 쾌감을 준다. 통쾌하다. 남악 회양의 ‘이 뭣고?’ 참 근사하다. 모든 단서를 막아버린다. 자연히 데카르트의...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8-11-29 01:18

  • 구조론은 쉽다

    구조론은 쉽다 여전히 공기가 맵다. 인류는 길을 잃었다. 지성은 빛을 일었다. 김지하가 생명을 말해봤자 생명의 포지션을 모른다. 그 생명 어디서 찾아 어디에다가 써먹으랴! 먼저 생명의 구조를 알지 않으면 안 된다. 노동운동, 통일운동에 주력하던 민주화 세력이 문화운동으로 대거 방향을 틀었지만 결정적으로 문화의 포지션을 모른다. 우선순위를 모르고 접근경로를 모른다. 어디부터 손대서 어떻게 다가가야 할지 모른다. 사태는 교착되고 만다. 장산곶 매의 발목에 꼬인 실매듭 여전히 풀리지 않았다. 안타까움은 계속되고 난국은 타개되지 않는다. 어떻게 타개할 것인가? 돌파구는 어디에 있는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8-11-28 01:27

  • 구조론 요약

    구조론 요약만유는 일(work)이다. 일하는 건 구조다. 구조는 정보≫포지션≫평형계≫구조체≫시스템순으로 발전하여 존재를 탄생시키고, 입력≫저장≫제어≫연산≫출력순서로 에너지를 순환시켜 일한다. 이에 세상이 이룩되었다. 구조는 만유의 짝짓기다. 얽기와 풀기로 짝짓는다. 존재가 짝지어 물질을 이루는 것이 얽기라면, 존재가 일하여 에너지를 순환시키는 것이 풀기다. 이에 만유를 밑바닥에서 규율하는 세 가지 근본법칙이 유도된다. ◎ 작용반작용 법칙(짝짓기) - 구조는 만유의 짝짓기다. ◎ 질량보존의 법칙( 얽기 ) - 구조의 압축은 물질로 나타난다. ◎ 엔트로피의 법칙( 풀기 ) - 구조의 압축해제는 에너지의 순환으로 나타난다. ◆ 일(work)- 구조는...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8-11-28 00:34

  • 구조론을 쓰고

    구조론을 쓰고처음 수학을 발견한 사람은 이렇게 말했을 것이다. ‘이제 끝났다. 답은 나왔고 이 길을 쭉 가기만 하면 된다. 모든 것은 이 안에 있다.’ 처음으로 총을 발명한 사람, 화약을 발명한 사람, 종이를 발명한 사람, 전기를 발견한 사람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그렇게 들떴을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수학은 누구에 의해 발견되지 않았다. 전기는 발견했는데 모터는 발명하지 못했다. 총을 발명하기는 했는데 명중률이 떨어진다. 화약을 발명했는데 성능이 형편없다. 처음부터 다되는 것은 없다. 그것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었다. 그리고 그 시작은 잘...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8-11-26 20:11

  • Previous Page
  • 581
  • 582
  • 583
  • 584
  • 585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