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지하철 무가지에서 우연히 발견한

    펀글입니다. 출처는 글쓴이 서일필 지하철신문에 기획광고를 냈더군요. 의도는 모르겠지만 일단 본문 중 일부가 제 생각과 비슷해서 펍니다. 제 생각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많으나. (전략) 충무로에는 3대 불가사의라는 것이 있습니다. 충무로에서 영화제작으로 돈 번 사람 없다. 충무로에는 어른이 없다. 그래도 충무로에서 영화는 만들어지고 있다. 그다지 논리적으로 구성된 불가사의 시리즈는 아니지만 그래도 충무로 사람들 사이에서 실제로 회자되고 있는 시리즈이니만큼 그대로 옮겨 적었습니다. 충무로에서 돈 번 사람이 없다는 문제는 한 편으로는 경제문제이기도 하므로 이는 대통령도 옆에서 귀기울여 볼만...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8-04-02 11:00

  • 노공이산

    **노공이산 ** ‘인류집단지능 네트워크 건설프로젝트’ 노공이 산을 옮겼을까? 아니면 노공이 산(山)인 걸까? 노공=이산(정조임금)일지도 모르겠다. 전설에 따르면 우공이 태형산과 황옥산을 떠서 발해만을 메우려하자 옥황상제가 호응하여 두 산을 삭동과 옹남으로 치워주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실제로 산을 옮긴 이는 우공이 아니라 옥황상제였더란 말인가? 아니면 옥황상제의 명을 받들어 산을 뽑아간 과아씨의 두 아들이었더란 말인가? 어쨌든 우공의 대담한 프로젝트 가동 이후 산은 치워졌다. 중요한 것은 우공이 시스템을 주장했다는데 있다. 우공이 혼자 힘으로는 산을 옮길 수 없지만 자식들과 손자들과 그 손자의 자식들로...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8-04-01 16:05

  • 구조론은 새로운 진보의 유전인자다

    구조론의 탄생 알아야 행동한다. 인식 다음에 실천이다. 인간의 실천은 동물의 반응과 다른 것이어야 한다. 나방은 불빛을 따르고 바퀴벌레는 어둠을 좇는다. 동물의 반응은 기계적인 것이어서 누군가에 의해 조종될 수 있다. 동물은 ‘네가 이렇게 하면 나는 이렇게 한다’는 규칙이 있다. ‘배가 고프면 먹는다’는 규칙을 가졌다면 먹이를 이용하여 통제할 수 있다. 길들일 수 있다. 대상이 있고 그 대상의 움직임에 따라 반응한다면 이는 불완전한 인식이다. 나의 내부에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틀이 있어야 한다. 그것이 갖추어졌을 때 완전한...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8-03-31 22:24

  • 구조주의 선언

    구조주의 선언 세상은 구조로 되어 있다. 사물의 바탕은 없다. 사물의 내재한 고유한 본성 따위는 없다. 가장 작고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다는 따위는 없다. 원자는 없다. 포지션은 있다. 만유는 물(物) 자체의 고유한 속성에 의해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관계, 곧 포지셔닝에 의해 그 시점에 새로이 조직된다. 서로 어떻게 만나고 맞물리느냐에 따라 비로소 결정된다. 존재가 서로 만나서 맞물리는 방식은 다섯가지가 있다. 이를 열거형이 아니라 통합적-입체적 모형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완성된 입체적 모형을 인간의...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8-03-29 12:19

  • 구조론 집필계획

    ### 대략 이런 이야기를 쓰려고 합니다. [제언] ◎ 구조론에 대한 전체적인 개괄.. ◎ 5분 스피치.. 구조론을 한 마디로 설명한다면. 구조론의 세계 -구조론적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 구조론적 세계관… 원자론과 구조론은 어떻게 다른가? 구조론적 세계관은 기계-결정론 및 상대론적 세계관과 어떻게 다른가? ◎ 질서와 가치.. 질서(하나의 구조로 통합되는 일반성)와 가치(모든 단위에 각각 저울이 존재하는 보편성)의 이해. ※ 수직적 질서.. 계 내의 질서(우선순위) ※ 수평적 질서.. 계 바깥의 질서.. 통하므로 다른 것으로 대체되는 성질, 가치. ◎ 패턴의 원리.. 부분과...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8-03-28 22:56

  • Previous Page
  • 605
  • 606
  • 607
  • 608
  • 609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