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귀염둥이 임종인류

    귀염둥이 임종인류 임종인 이 인간은 왠지 밉지가 않다. 뺀질뺀질하게 생긴 인상부터가 그렇다. 전성기 시절의 이재오를 연상시킨다. 하긴 그때는 이재오도 사람처럼 보였지. 하여간 이런 사람은 키워줘야 한다.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위해서. 그리고 개혁세력의 포용력을 과시하기 위하여. 정치가 그렇다. 정치는 본래 어중간을 싫어한다. 정치가 원하는 것은 시대의 랜드마크다. 랜드마크는 왼쪽에도 있어야 하고 오른쪽에도 있어야 한다. 임종인, 김성호 같은 깐죽이들 덕분에 우리는 극(極)의 위치를 파악하고 방향감각을 얻는다. 말하자면 ‘임종인 나섰다’ 하면 ‘정권 위기지수 7’ 하고 정답이 딱 나오는...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6-12-09 21:43

  • 미학의 역사

    [보완되어야 할 개인적인 글 - 서프에 기고하지 않습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근원적인 두 개의 시선이 있다. 존재론과 인식론이다. 존재론이 자연의 순리 그대로라면 인식론은 인간이 이를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문의 세계를 크게 둘로 나누어 바라볼 수 있다. 역학과 미학이다. 역학이 존재론의 영역이면 미학은 인식론의 영역이다. ● 존재론 - 자연의 질서(역학) ● 인식론 - 인간의 가치(미학) 역학은 계 내부에서 질서를 추구한다. 역학의 의미는 문제의 해결에 있다. 질서에서 힘이 유도되고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다. 미학은 계 바깥에서 가치를 추구한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6-12-08 18:23

  • 단상 자투리 이야기들

    (대문글 아닙니다.)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해야 한다. 기본적인 것은 무엇일까? 기본(基本) 보다 더 기본적인 것은 없을 터이다. 기본(基本)이란 무엇인가? 대지와 인간의 접촉점이다. 그 접점이 튼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의 기본은 무엇일까? 사랑이다. 사랑을 통하여 인간은 타인과 접촉한다. 그렇지 않은가? 지식의 기본은 무엇일까? 언어다. 언어를 통하여 우리는 세계를 이해한다. 어떤 영역이든 반드시 접촉점이 있다. 그것이 기본이다. 기본이 되어야 한다. 접촉할 수 있는 수단을 확보해야 한다. 네티즌은 랜으로 접속한다. PC가 없고 랜이 없다면 군인이 총을 들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6-12-07 00:14

  • 고흐와 고갱(수정함)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부 지난번 글과 내용이 겹치게 하였습니다. 계몽할 것인가 소통할 것인가? 옛부터 두 가지 형태의 이상주의가 있어왔다. 카오스와 코스모스다. 니체는 이를 코스모스를 숭상하는 아폴론의 이상과 카오스를 숭상하는 디오니소스의 이상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르네상스는 그리이스 정신의 부활이다. 그리이스적인 것은 무엇인가? 비너스상의 황금비례 팔등신으로 대표되는 기하학적인 질서다. 파르테논 신전에 늘어선 열주와도 같은 그것은 스파르타 군대의 질서다. 아테네의 자유분방함은 다르다. 두 가지 그리이스 정신이 있다. 스파르타의 그리이스와 아테네의 그리이스가 있다. 문제는 오늘날 서구정신이 스파르타의 그리이스를 살려내되...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6-12-04 19:52

  • 비판적 지식인상과 이상주의적 지식인상

    비판적 지식인상 이상주의적 지식인상 하회탈을 주의깊게 보신 적이 있으신지. 양반탈은 해학적인 표정을 짓고 있는데 비해 선비탈은 인상을 쓰고 있다. 표정이 무섭다. 옛 시골의 무지렁이 백성들이 유교 선비들을 무서워 했던 거다. 왜? 조선 초만 해도 선비들이 몽둥이 들고 사찰을 때려부수기에 분주했던 거다. 율곡선생이 젊었을 때 잠시 사찰에서 공부한 일로 트집을 잡혀 일생동안 여러 번 곤욕을 치렀을 정도이다. 소수서원, 병산서원을 비롯해서 전국의 유명한 서원들은 대개 불교의 사찰을 빼앗은 그 자리에 세워졌다. 소수서원의 앞뜰에는 여전히 무너진 석탑의 기단부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6-12-01 22:39

  • Previous Page
  • 656
  • 657
  • 658
  • 659
  • 660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