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중 한류는 중국의 치욕

    연휴 동안 빠짐없이 출근하는 독자라면 다르다고 보오. 다른 분들을 위하여 각별한 다섯 편을 보태려고 했소. 찌질이들과 꼴통들은 읽다가 중간에 떨어져 나갈 따분한 내용으로 메뉴를 구성해서 말이오. 그러나 쓰지 못했소. 그래서 대략 몰아서 한꺼번에 쓰려고 하오. 갑자기 떨어진 기온에 찬 바람을 쐬었더니 머리가 지끈지끈 하오. 쓸 수 있을지 모르겠소. ● 지율스님 단식 100일 가능하다. ● 조갑제는 악한(惡漢)이 맞다. ● 양은냄비 대중노선은 안된다. ● 현충사는 박정희시대의 기념비적인 조형물이다. ● 한류는 본질이 굳건하므로 오래 간다. 대략 이런 내용들이라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5-02-11 17:35

  • 대중노선은 가능한가?

    설날은 쉬어야 합니다. 휴일없이 강행군 하는 편집장님 좀 쉬시라는 뜻에서.. 설날에도 인터넷에 접속하는 열성독자분들을 위해 되는 소리 안되는 소리를 시리즈로 늘어놓을까 합니다. 대중노선이란 무엇인가? 대중노선[大衆路線] 대중 속으로 파고들어 대중의 욕구, 특히 문화적·경제적 욕구를 파악하여 그것을 기초로 하는 정책을 세우며 그 실현을 목표로 하는 운동을 통하여 대중에게 정치교육을 실시하고, 대중의 정치의식을 높이려는 조직방침. 이런 노선에서 벗어나면 좌우의 편향이 발생하여 혁명은 실패하므로 당은 끊임없이 대중에서 출발하여야 한다는 이론이다. 일반적으로는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 활동의 원칙이지만, 특히 중국의 마오쩌둥[毛澤東]에 의하여...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5-02-08 14:36

  • 달구벌성에 삭풍이 몰아치니

    악역도 필요하다. 그러나 선(善)한 우리가 악역을 맡을 필요는 없다. 악역은 악당에게 맡겨야 한다. 선(善)은 우리 모두가 나누어 가지는 것이 맞고 악(惡)은 조선일보 한 넘에게 몰아주는 것이 맞다. 김민새 같은 인간이 있어야 노무현도 빛이 나지만.. 걱정 붙들어 매셔. 김민새 같은 인간은 언제나 있다. 반드시 나타난다. 우리가 ‘필요악’의 미명 하에 김민새의 역할을 나누어 맡을 필요는 없는 것이다. 공희준님이 제때 필요한 말을 해줘서 고맙지만.. 나는 더 나은 방법이 있다고 믿는다. 조갑제 같은 부류의 인간은 언제나 있기 때문이다.(조갑제가 제때...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5-02-07 22:41

  • 달구벌 성에 봄은 오는가?

    어떤 일을 추진함에 있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들고 와서 제안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현장에 뛰어들어 이를 검토하고 실행하는 그룹도 있고, 뒤에 앉아서 잔소리를 늘어놓으며 비토를 일삼는 사람들도 있다. 국민들이 한나라당을 꼴통으로 보는 이유는 ‘비토그룹’의 역할이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이다.(비토그룹은 진보 쪽에도 있다.) “한나라당 니들 지금 잠이 오냐?” 상대편 골대 앞에서 싸우는 축구를 해야 한다. 우리당의 개혁 드라이브가 한나라당에게 비토전문이라는 수비축구의 역할을 안겨주었다. 우리당이 개혁과제들을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국민들에게 제안그룹으로 인상지어지게 하는 작전은 먹혀 들었다. 상대편 쪽 그라운드 절반만...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5-02-07 22:40

  • 한국사는 성공한 역사이다

    한국사는 성공한 역사인가? 그렇다. 그런데 무엇을 성공했지? 보시다시피 우리는 자랑스러운 민주화에 성공하고 있다. 그래서? 민주화가 대수란 말인가? 그렇다. 민주화가 대수다. 그렇다면 대수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돈이다. 사우디나 쿠웨이트는 돈이 많다. 그러나 누구도 사우디나 쿠웨이트를 성공한 나라로 인정해주지 않는다. 왜? 배울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무엇인가? 성공이란 ‘모범형의 창출’에 성공함을 말함이다. 다른 나라가 본받을 만한 모범형의 창출에 성공하지 못하면? 일인당 GDP가 10만불을 넘어도 결코 성공이 아니다. 그렇다면 모범이 되기만 하면 성공인가? 그렇지는 않다. 그 모범을 다른...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5-01-26 22:06

  • Previous Page
  • 737
  • 738
  • 739
  • 740
  • 741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