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본 구조론

자연에 구조가 있다. 사람들은 기역자나 니은자를 읽어서 단어를 조립하고 문장을 엮어내지만, 나는 자연을 관찰하여 패턴포지션밸런스를 읽어서 그것으로 구조체를 조립하고 시스템을 엮어낸다.

구조는 자연의 완전성으로부터 시작된다. 자연은 완전하다. 완전성은 거울과 같다.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며 제 색깔을 토해내듯이 완전성의 거울에 비추어보면 구조가 드러난다.

처음 자연을 관찰하여 패턴을 발견한다. 패턴에 질서가 있음을 깨닫는다. 패턴의 반복연속이다. 같은 패턴이 2회 반복된다면 형제다. 그 형제를 낳는 어미가 있다. 그 어미에 의해 패턴은 연속된다.

반복- 같은 패턴이 2회 이상 반복된다.
연속- 어미 1을 공유하는 형제 2의 패턴이 연속된다.

복숭아가 둘이면 반복, 두 복숭아가 공유하는 하나의 가지가 있으면 연속이다. 손가락이 둘 이상 있으면 손가락들이 공유하는 하나의 손목이 있다. 어미 1에 딸린 형제 2의 패턴이 연속이다.

패턴이 연속되면 형과 아우의 서열이 있다. 그것이 포지션이다. 앞과 뒤, 시작과 끝, 원인과 결과, 밤과 낮, 음과 양처럼 모든 짝지어져 연속되는 것에는 반드시 포지션이 있다. 서열이 있고 질서가 있다.

패턴은 닮음이다. 새끼 백조의 닮은꼴 패턴이 두번 나타나면 반복, 두 새끼 백조가 같은 어미에게서 나온 형제이면 연속이다. 연속되는 형제 둘 사이의 질서가 포지션이다.

그 둘이 공유하는 어미를 포함한 셋 사이의 질서가 밸런스다. 이때 형제 2에서 어미 1로 위로 한 단계 올라가는 것이 가역이다.

손가락 형제들은 손목이라는 하나의 어미에 의해 연속된다. 손목 어미가 한 단계 서열이 높고 손가락 형제는 서열이 낮다. 손가락에서 손목으로 질서를 거슬러 올라가면 가역이다.

하나의 밸런스는 어미 1과 형제 2로 세팅된다. 이때 어미와 자식의 관계로 서열이 차별화 된다. 그것이 질서다.

손가락에서 손목으로, 꼬리에서 몸통으로,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형제에서 어미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가역이다. 형제 2의 포지션에서 어미 1과 형제 2를 포함 3자의 밸런스로 나아간다.

변방에서 중심으로 가역하여 거슬러 올라가면 더 이상 갈수 없는 한계에 도달한다. 막다른 곳에 도달한다. 그것이 분할이다.

손가락은 손목을 만나 몸통에 도달하여 더 갈 곳이 없고, 형제는 부모를 만나 가족에 도달하여 더 갈 곳이 없다. 외부와 분리된다.

하늘과 땅은 별도로 분리되어 있지만 에너지의 순환에 의해 하나의 산하(山河)로 통일된다. 비가 산을 깎아 바다로 돌아가고 다시 비가 되어 산에 내리며 순환된다. 동물과 식물은 전혀 다르지만 하나의 생태계로 통일된다.

구조는 계 안에서 패턴이 집적된 정도에 따라 반복≫연속≫가역≫분할≫순환다섯 질서를 이룬다. 질서가 점차 고도화 되어 순환에 이르면 완전하다. 완전하면 소통하고 소통하면 낳는다. 낳아서 널리 세상을 이룩한다.


http://gujoron.com** **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09-07-22 12:40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