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이란?
구조론은 한 마디로 문제의 해결이다. 문제해결의 요체는 포지션의 우위를 점하는 데 있다. 상위포지션을 차지하고 하위포지션을 치는 것이다. 이에 구조론은 기본적인 다섯 개의 포지션을 제시한다.
포지션은 대칭성 원리에 기초한다. 만유의 근본은 대칭성이다. 음양의 대칭, 남녀의 대칭, 진보와 보수의 대칭 뿐 아니라 모든 움직이고 변화하는 것, 진보하고 발전하는 것에 대칭구조가 숨어 있다.
존재를 밑바닥에서 규율하는 법칙은 인과율이다. 원인과 결과의 대칭에서 일의 시작과 끝의 대칭 그리고 시간의 과거와 미래, 공간의 작용과 반작용, 물질의 질과 량 사이의 대칭으로 폭넓게 전개한다.
상하, 전후, 좌우, 고저, 장단, 원근, 대소, 광협, 심천, 흥망, 강약, 청탁, 장유, 길흉, 명암, 호오, 개폐, 진퇴, 성패, 유무, 애증, 은원, 손익, 종횡 끝이 없다. 우리가 사물을 이해하는 기본이 대칭이다.
대칭은 존재 그 자체의 본바탕이다. 세상은 무수한 대칭들의 거대한 집적구조다. 건물이 벽돌의 집적이라면 존재는 대칭구조의 집적인 것이다. 문제는 이 대칭을 인간이 어떻게 통제할 수 있는가이다.
문제의 해결은 바로 대칭의 통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자기기라도 대칭을 이루는 명암, 강약, 대소, 농담을 조절하는 제어장치가 기본이다. 반도체라도 대칭을 이루는 0과 1의 제어가 기본이 된다.
보통은 마주보고 대칭된 두 날개 중 한 쪽 날을 차지하고 반대쪽 날개를 친다. 강에 붙어서 약을 치고, 대에 빌붙어 소를 치고, 양에 빌붙어 음을 친다. 역사이래 인류는 그 짓을 반복해왔다.
그러나 밸런스원리에 의해 복원되고 만다. 대중의 균형감각에 의해 다시 교착된다. 서구가 동양을 치고, 보수가 진보를 치고, 마초가 페미를 치고, 강자가 약자를 쳤지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구조론은 포지션 우위를 점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대칭의 두 날개 곧 진보나 보수, 여자나 남자, 부자나 빈자, 서구나 동양 중의 한쪽 편을 드는 것이 아니라 그 중심축을 장악하는 것이다.
모든 대칭구조에는 반드시 상위 포지션이 있다. 상부구조가 있다. 대칭축이 있다. 두 바퀴를 동시에 지배하는 굴대가 있다. 에너지가 드나드는 출입구가 있고 그 에너지를 조절하는 스위치가 있다.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고 했다. 어느 한쪽 편을 들어서는 절대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파도가 선박을 기울게 해도 바다가 다시 배를 복원시키듯이 밸런스원리에 의해 원위치 되기 때문이다.
정답은 무엇인가? 에너지를 통제하는 것이다. 에너지는 항상 외부에서 들어오므로 반드시 에너지의 출구와 입구가 있다. 하나의 존재, 하나의 사건에서 에너지의 출입구는 항상 하나여야 한다.
그 에너지의 출입부분이 구조체의 상부구조다. 상부구조에는 스위치가 있어서 대칭되는 진보와 보수, 이상과 현실, 강자와 약자, 주류와 비주류를 동시에 통제한다. 요는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이다.
열역학 제 2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항상 상부구조에서 하부구조로 진행하는 일방향성을 가진다. 물이 위에서 아래로 가듯이 에너지는 입력에서 출력으로만 진행하며 그 반대의 경우는 결단코 없다.
엔트로피 법칙을 적용하여 상부구조에서 에너지의 출입구를 장악하고 하부구조와 이어지는 축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대칭된 두 날개로 내려가는 에너지를 제어하는 것이 문제해결의 요체다.
문제는 지속가능성이다. 강으로 약을 치고, 부로 빈을 치고, 진보로 보수를 치고, 무로 문을 치고, 주류로 비주류를 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1회성의 해결일 뿐이다.
한쪽이 다른 한쪽을 치면 일시적으로는 잠잠해지지만 밸런스가 무너져서 팀이 깨지고, 조직은 와해되고, 가족은 흩어지고, 국가는 분열되고, 시스템은 붕괴되어 더 이상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려면 밸런스를 유지해야 한다. 왼쪽에서 오른쪽을 치는 식으로는 답이 될 수 없다. 상부구조가 하부구조의 대칭성을 다치지 않으면서 에너지 조절을 통하여 제어해야 한다.
이때 상부구조 1이 대칭된 하부구조 2를 통제하므로 에너지의 효율성이 담보되어 조직은 발전하고 국가는 통합되고 팀은 재건되고 가족은 결집하고 시스템은 진보하고 생명은 성장한다.
문제는 신체감관에 의존하는 인간의 인식체계가 외부에서 에너지를 유도하여 내부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상부구조의 존재를 포착하지 못하도록 세팅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깨달음이 필요하다.
그래서 당한다. 상부구조를 장악하고 아래로 에너지를 찔끔찔끔 딱 죽지 않을만큼 흘려주는 지배집단에 이용당한다. 인간의 인식이 이원론적인 대칭구조에 붙잡혀 있기 때문이다. 깨뜨려야 한다.
인간이 사물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기본이 대칭성이다. 거기서 공사(公私), 진가(眞假), 가감(加減), 완급(緩急), 굴신(屈伸), 문답(問答), 시비(是非), 난이(難易), 등락(登落)의 대칭을 발견하면 아는체 한다.
인간의 지적 행위는 대략 이를 포착하고 평가하되 하나를 취하고 다른 하나를 배척하는 형태이다. 그러한 대칭성 집착이 이분법적 사고, 이항대립적 사고, 선형사고, 흑백논리적 사고를 낳는다.
모든 둘로 나누고 색깔 칠하여 구분하고 차별하며 하나를 취하고 다른 하나를 배척하는 이원론은 오류다. 선에서 입체로 발전해야 한다. 입체적 사고, 비선형적 사고, 통합적 사고를 얻어야 한다.
구조론이 주장하는 통짜덩어리 인식, 깨달음의 세계다.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한 줄에 꿰어보는 열린 시야가 필요하다.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연결하는 에너지 흐름도를 꿰뚫어보는 것이다.
입체적 사고에 기초한 통짜덩어리 인식이 깨달음을 낳고 깨달음이 소통을 낳고 소통이 짝짓기를 낳고, 짝짓기가 창의를 낳고, 창의는 포지션의 우위를 유도한다. 포지션의 우위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계를 통제하는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럴 때 지속가능한 구조가 세팅된다. 시스템의 선순환을 이루어 생명의 성장, 조직의 확장, 시스템의 진보, 문명의 발전, 역사의 진보를 유도할 수 있다.
돌아가는 판 전체를 한 줄에 꿰어 한 눈에 읽어내는 눈, 정상에서 전모를 보는 시야, 에너지의 입구와 출구를 장악하는 선점. 상부구조를 장악하고 스위치를 조작하여 하부구조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그 방법으로 무수한 짝짓기를 끌어내어 창의하기다. 매일 새롭게 낳아내기다. 개인의 창의에서 그치지 않고 나아가 천하를 이롭게 하는 위대한 낳음의 자궁을 건설하는데 참여함이 대승의 정신이다.
그것은 이상주의라는 자궁이다. 신의 완전성에 다가가려는 노력이다. 그 이상주의를 사회라는 무대 위에서 전개하는 것이 미학의 완성이다. 우리가 지구라는 별에 초대받아 온 이유에 답하는 것이다.
지구에 온 목적이 뭐냐? 왜 사는가? 어떻게 살 것인가? 근원적인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진짜다. 세상을 바꾸는 대승의 기획에 참여함으로써 가능하다. 내 안에서 낳아냄으로써 가능하다.
http://gujoro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