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설에 대해서
역설은 간단한 원리다. 그런데 어렵게 여기는 분이 많더라. 왜 그럴까? 왜 역설이 어렵게 여겨질까? 역설은 한 마디로 어떤 대상에 작용하여 통제하려면 그 대상이 가진 힘보다 커야한다는 거다.
당연한 거다. 주먹으로 벽을 때리면 제 손만 아프다. 야구공을 받아치려면 투수가 던진 힘보다 세게 방망이를 휘둘러야 한다. 당연한데 왜 문제일까? 역설이 문제가 아니라 인간이 문제다.
인간은 원래 연역적 사고를 못한다. 인간의 뇌기능 자체에 원초적으로 문제가 있다. 그래서 깨달음이 필요하다. 원래 인간의 뇌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역설이 이해된다.
중학생 수준의 물리학 공부하신 분은 다 알거다. ‘f=ma’ 이딴거 학교에서 다들 배웠잖은가? 힘이라는 것은 대상에 작용하는 것이며 물리적으로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당연히.
거기에는 시간의 길이, 공간의 너비, 가속도, 상대성, 지렛대의 원리 등등 여러 조건이 있다. 보통 이들 중에 하나를 충족시켜놓고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착각하는게 인간이다. 왜? 멍청하니까.
자동차에 기름만 넣어놓고 차가 간다고 믿거나, 혹은 시동만 걸어놓고 차가 간다고 믿거나, 혹은 엑셀만 밟아놓고 차가 간다고 믿는 착각한다. ‘왜 차가 안 가느냐?’며 골 내는게 역설이다.
근데 때로는 기름만 넣어도 가고(이미 시동이 걸려있으므로), 때로는 시동만 걸어도 가고(이미 미션이 D에 가 있었으므로), 때로는 액셀만 밟아도 잘만 간다.(실은 이미 운전중이었음.)
그러므로 ‘아 뭐만 해도 되더라’ 하고 착각하는 거다. 즉 경험을 믿더라는 거다. 전기만 해도 전압이라는게 있고 또 전류라는게 있고 전극도 있고 기타등등 여러가지 조건이 복잡하게 있다.
그 중 하나만 들이대면 된다고 믿는 바보들이 숱하게 있으니까 세상에 역설이 있는 거다. 근데 보통 인간들은 대충 하나만 들이대는 식으로 잘 살고 있다. 인생 자체가 그렇더라는 말이다.
학생은 성적만 들이대면 되고, 선수는 메달만 들이대면 되고, 구직은 스펙만 들이대면 되고, 짐승남은 복근만 들이대면 되고, 송일국은 살만 빼면 되고, 명박은 삽질만 하면 다 되고?
소는 밭만 잘 갈면 되고, 돼지는 살만 찌면 되고, 닭은 알만 잘 낳으면 되고, 아사다마오는 트리플 악셀만 하면 다 되고? 이건 인간들의 착각이다. 그들은 시스템 안에 갇혀 길들여진 존재다.
시스템 밖으로 나오다 역설의 찬공기를 만나 기겁을 한다. 사회에 길들여져 있으니까 역설을 모른다. 밑바닥에서부터 박박 기어본 사람은 구태여 말 안해도 역설을 안다. 산전수전 겪어보고 안다.
물리적으로 힘을 구성하는 조건은 다양하며, 모든 조건을 충족시켜야 대상의 중심을 칠 수 있으며, 대상의 중심을 쳐야 힘이 옳게 전달된다.
선빵에 실패하면 뒈지게 맞는다. 이게 역설이 아닌가? 뭐 이 정도는 가리봉동 양아치도 안다.
역설이란 간단히 힘의 작용이 대상의 무게중심을 치지 못하면 힘이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것이다. 반사되는 이유는 작용의 순간에 계가 만들어지는 데 힘의 크기에 따라 계의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인간의 예상과 다른 장소에서 계가 만들어져 힘의 진행이 꺾이면 그걸 역설이라고 하는 거다. 타점이 A라고 여겼는데 B라면 그게 역설이다. 단순히 예상이 빗나간 거다. 과녁을 못맞힌 거.
1킬로그램의 물체를 움직이려면 그 물체가 가진 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해야 하는 거다. 근데 어떤 조건에서(예컨대 이미 움직이고 있었다든가, 물에 떠 있었다든가) 더 작은 힘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착각하는 거다. 인간이 사회에서 부딪히는 대부분의 일은 하나만 하면 된다. 여러 조건들 중 나머지는 충족시켜놓고 빠진 하나만 채우라는 거다. 그게 포지션 원리다.
대장은 판단하고, 간부는 전달하고, 다 준비된 상태에서 병사는 총만 쏘라는 식이다. 포드시스템에 길들여진다.
대상을 통제하려면 그 이상의 힘을 가해야 한다는 당연한 지식이 역설이며 그 이상의 힘이라는 것은 시간, 공간, 가속도, 지렛대의 원리 등등 여러 물리학적 조건에 의해 성립된다.
인간들이 귀찮으니까 그 중 하나만 보고 통밥때린다. 이런걸 원론에서 정치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역설이라는 단어에만 집착한다면 곤란하다. 모든 힘의 작용은 대상의 무게중심을 친다.
치지 못하면 되치기 된다. 채찍으로 팽이를 치면 그 힘은 팽이에 흡수되어버린다. 당연한 거다. 중심을 치지 못했으니까. 달리는 자동차를 뒤에서 밀어주면 자동차는 더 잘달린다. 당연한 거다.
팽이를 치면 팽이가 넘어진다고 믿거나, 자동차를 밀어주면 자동차가 자빠진다고 착각한 사람이 문제다. 역설은 간단히 1 1=2다. 어떤 멍청이가 1-1을 해놓고 왜 2가 아니냐고 따진다면 그게 역설.
그때는 ‘멍청아’ 하고 혼내주는게 맞다. 역설은 거꾸로가 아니고 거꾸로 보여진다는 거다. 그건 작용하는 인간이 하부구조, 종속된 낮은 포지션에 있기 때문이다. 누가 밑으로 들어가랬냐고.
http://gujoro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