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여간 제 이야기는 석가때는 위빠사나로 다 깨달았고 당나라때는 간화선으로 다 깨달았는데 지금은 둘 다 안 먹힌다는 말입니다. 왜냐하면 약발이 떨어졌기 때문이지요. 그 사이에 깨달음의 정의도 달라졌고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석가 때는 소승이라서 개인의 번뇌만 해결하면 되는 것이었는데 요즘은 개인의 번뇌를 가진 사람을 찾아보기도 어렵습니다. 번뇌라는 것 자체가 없어졌어요. 현대인들 다들 배 두드려 가며 잘 먹고 잘 살고 있습니다. ‘저 혹시 번뇌 해결에 관심있습니까?’ 이거 안먹힙니다.
당나라때 와서 달라진 것은 실존적 고민이 화두로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말하자면 석가 때는 내가 가만 있는데 생노병사의 고라는 놈이 함부로 침투해 와서 나를 마구 두들겨 패기 때문에 그 생노병사의 고라는 놈의 시야로부터 잘 숨기만 해도 번뇌해결이었습니다. 그러나 그건 옛날 옛적 그야말로 호랭이 담배먹던 시절 이야기고 간화선의 화두는 ‘왜 사느냐?’ ‘나는 무엇인가?’하는 실존적 고민이 되며 이건 석가의 고(苦)와는 차원이 다른 문제입니다. 실존적 고민은 소통으로 하여 해결이 되는 문제입니다. 그리고 소통의 수단은 미학입니다. 간화선의 깨달음은 미학적 성(聖)의 깨달음이며 이는 석가시대와 비교할 때 문제의 레벨이 달라진 것입니다. 그리고 21세기의 지금은 생노병사의 고가 문제로 되는 시대가 아니고 실존적고민도 더 이상 문제가 아닙니다. 생노병사의 문제는 그냥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으면 되고 실존적 고민을 해결하려면 인터넷 동호회에 참여하여 활동하면 됩니다. 그러니까 21세기에 와서 지금의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답을 못찾겠다는 문제가 아니고 문제가 없어졌다는게 문제지요.
이제는 창조할 수 있어야 하고 내 안의 자궁에서 낳아낼 수 있어야 합니다. 문명화된 이시대로 말하면 소통이나 실존적 고민 역시 소극적 태도입니다. 지금은 각자 툴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창조에 나설 때입니다. 말하자면 자동차의 설계도(금강경), 자동차의 제작(위빠사나), 그리고 자동차의 운전(간화선)을 넘어서 그 자동차를 운행하여 갈 목적지가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는 거지요. 이 시대에 간화선이 답을 주지 못하는 이유는 그것이 당신이 진정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0-08-11 19:12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