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리트윗에서 옮김]

구조는 과학의 언어다. 구조를 모르면 인간이 얼마나 멍청해 지는지 예를 들기 위해 기사를 퍼왔다.

http://j.mp/m8Nr2i

초등학생도 납득시킬 수 없는 멍청한 소리다. 이 기사의 내용이 맞고 틀렸고를 떠나서 애초에 사고방식 자체가 비과학적 사고방식이라는게 문제다. 이런 식은 아니다. 원초적으로 아니다. 접근법이 틀렸다.

이런 식이면 과학자라고 볼 수 없고, 과학의 언어로 볼 수 없고, 과학적 방법론이라고 볼 수 없고, 과학의 범주 안에 있다고 볼 수 없다. 중세의 연금술이나 거리의 약장수 수준이라 하겠다.

이는 에디슨의 방법이 제법 신통한걸 만들어내기는 하지만 그것이 과학의 방법론은 아니라고 테슬라가 지적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금을 찾으려면 지질조사를 해야지 그냥 사람 풀어서 막 돌아다녀보고 운 좋으면 찾지 이런건 아니거든.

인간이 밥을 먹는 이유는 맛을 즐기기 위하여도 아니고, 배고픔을 피하기 위해서도 아니다. ‘위하여’는 일단 아니다. 돌을 먹을 수 없기 때문에 밥을 먹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자의로 선택이 가능한 것은 일단 답이 아니다.

흙을 먹을 수 있나? 흙을 먹을 수 있다면 흙을 먹지 왜 밥을 먹겠는가? 인간이 흙을 못 먹고, 나무를 못 먹고, 풀을 못 먹기 때문에 밥을 먹는 것이다. 이는 인간이 선택한 것이 아니다. 원래 그런 거다.

◎ 자의적 선택이 가능한 것은 모두 비과학에 속한다. 과학의 대상이 아니다.

앉은뱅이가 앉아있는 이유는 앉아있는게 편해서도 아니고, 왕따가 두려워서도 아니다. 앉은뱅이라서 그렇지. 과학은 자의적 선택을 배제하고, 구조적인 에너지의 필연을 따라가야 한다. 필연적으로 그 길 외에 다른 길이 없어야 한다. 외부의 통로는 모두 봉쇄되어 있어야 한다.

이것이 구조론의 질 개념이다. 일단 외부를 봉쇄해놓고 이야기 시작한다.

인간이 협력하는 이유는, 협력해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협력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바둑 고수가 하필 거기에 놓는 이유는 거기 외에 다른 적당한 곳이 없기 때문이다. 선택한게 아니고 필연이다. 그래서 정석이다.

물론 위 인용한 기사의 실험에는 협력이 자의적 선택인 것처럼 해놨지만, 인간은 삶의 일관성의 문제가 걸려있기 때문에 사실은 선택이 아니다. 협력은 보상받기 위하여도 아니고, 왕따를 피하기 위하여도 아니고, 일단 모든 위하여는 아니고.. 구조의 필연에 의하여다.

구조의 기승전결 법칙에 따른 삶의 일관성 원리에 의하여 한번 도둑질을 하면 평생 도둑질을 하게 되므로 도둑질을 안 하는 것이다. 필자가 9살 때 참외서리를 하면서 할까말까 고민했었다. 그리고 하기로 결정했다. 이유는 과연 내가 지금 한 이 선택이 내 일생에 두고두고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그렇지 않은지 실험하기 위해서였다. 즉 어른이 되었을 때 과연 아홉살때의 참외서리가 인생에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려고 한 것이다.

결론은 일생에 일관되게 영향을 미친다는 거. 인간은 모듈원리에 따라 어떤 행동에 유형을 사전에 결정해놓고 같은 행동을 반복하도록 뇌가 세팅되어 있으므로 한번 협력하면 계속 협력하고, 한번 배신자는 계속 배신한다. 그 이유는 스트레스 때문이다. 즉 뇌의 긴장상태가 지속적으로 다른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뇌의 긴장이 절대 안 풀리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위 기사의 실험에서 징벌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모면하려고 협력하는게 아니라 협력하지 않으면 뇌가 계속 긴장상태에 있어서 자기가 계속 스트레스를 받아 다른 일에 집중을 못하기 때문에 협력하는 것이다. 한번 참외서리를 하면 계속하게 되고, 그 경우 공부에 집중을 못하게 된다. 즉 참외서리가 문제가 아니라 공부가 문제인 것이다. 인생이 통째로 틀어진다.

◎ 구조론 -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된다. 협력을 안 하면 그 일 외의 다른 일을 모두 못하게 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협력하는 것이다.

사회의 징벌이 아니라 자신의 징벌이다. 협력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회의 정보라인에서 소외된다는 것이고, 앞으로 공동체에서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지 모르게 된다는 것이고 그룹에서 배제된다는 것이다. 뇌가 이를 사전에 알고 있기 때문에 그 점을 중요하게 생각해서, 뇌가 계속 긴장상태에 있게 된다. 뇌의 긴장상태가 방해해서 아무 것도 못하게 되므로 뇌의 긴장을 풀기 위해 협력하는 것이다.

전쟁나면 도망갈까 참전할까를 두고 여론조사를 하면 다들 도망간다고 대답한다. 그러나 실전이 일어나면 도망갔다가도 다시 돌아온다. 뇌가 계속 긴장해서 다른 일에 집중을 못하게 방해하기 때문이다. 도망가서 편안하게 못있고 스트레스 받아서 다시 귀국하는 것이다.

이는 보상을 위해서도 아니고 왕따를 피하기 위해서도 아니다. 양심에 의하여 편하게 못 사는 것이다. 역시 의하여다. 뇌의 긴장상태가 다른 일을 방해하는게 양심이다. 집에서는 혼자 팽개쳐진 아기가 배가 고파 울고 있는 판에 겜중독자라도 겜방에서 겜에 집중이 안 된다. 아기가 굶고 있는데도 겜만 잘 하는 엄마라면 양심불량이다. 가끔 그런 보도 있다. 양심불량 사이코패스 있다.

양심은 구조의 대칭원리를 따라 사건의 기승전결을 이어가려 하는 즉 삶의 일관성을 지키려 하는 것이며 즉 뇌의 에너지 효율성 추구 원리로 실제로 존재한다. 이는 에너지의 필연이고 물리학이다. 자의적 선택이 아니다.

에너지가 없으면 자동차가 달리지 못한다. 기름이 없는데 어떻게 가겠는가? 차가 서고 싶어서 서는게 아니다. 선택이 아니다. 기름이 없으면 저절로 선다. 뇌라는 자동차가 달리려면 역시 에너지가 있어야 하고, 에너지를 얻으려면 효율성을 얻어야 하고, 효율성을 얻으려면 모듈화를 해야 하고, 모듈화를 하면 한번 내린 결정을 반복해서 써먹게 되고, 이를 위해서 뇌가 긴장상태에 있으면서 수시로 심장을 자극하여 쿡쿡 찌른다. 다른 결정을 방해한다. 그게 양심이다.

강호동 이수근이 1박2일에서 조퇴를 하고 근처 식당에서 서성거리는 것은 갈데가 없어서다. 아홉살 때 꾀병을 하고 조퇴를 한 적이 있었는데 갈데가 없더라. 그 이후로 꾀병을 안했다. 이는 인간이 사건의 기승전결 구조 안에 있으므로 일관성의 문제에 부닥치기 때문이다. 징벌을 면하기 위함도 아니고 보상을 받기 위함도 아니고, 대안이 없어서다.

만약 다른 중요한 사건이 있다면 혹해서 갔을 것이다. 위 기사의 투자게임에서도 만약 밖으로 열려있고 나가도 되고, 밖에 더 잼나는게 있으면 다들 먹튀했을 것이다. 문이 잠겨있고 그 공간 안에 갇혀있기 때문에 협력하는 것이다.

중국인들은 협력을 안 한다. 대륙이 넓고 열려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길에 누가 쓰러져 있어도 모른체 한다. 일본인도 어느 면에서는 협력을 안 한다. 일본이 굉장히 크고 열린세계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후쿠시마 사태를 남의 일로 여긴다. 오히려 한국인이 모금하고 난리다. 반대로 일본인이 맹렬히 협력할 때도 있다. 그때는 일본이 작은 섬이라서 튈 때가 없다는 생각때문이다.

일본은 주제에 대국의식을 발휘하기도 하고 섬나라근성을 발휘하기도 하는 것이다.

결론.. 인간은 어떤 이익과 징벌, 당근과 채찍 때문에 자기 행동을 결정하는게 아니라 그거 외에 다른 길이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하는 것이며, 다른 모든 길이 봉쇄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길을 가는 것이다. 그 외에 다른 길이 없는 이유는 일의 기승전결 구조에 따른 일관성 때문이고, 오늘만 날이 아니고 내일, 모레 계속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예비군들은 오늘만 날이기 때문에 협력 안 한다.

◎ 조교 - 선배님들 집합해 주세요.

◎ 예비군 - 메롱.

그러므로 내일을 내다보지 못하는 바보는 반드시 배신을 때리며, 일관성이 없는 사람은 반드시 배신을 때린다. 반면 순수한 사람은 배신하지 않는다. 순수하다는 것은 일관성을 어겼을 때 굉장히 큰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이다. 김기덕이나 노무현이 그런 사람이다.

그런 사람은 배신하면 스트레스를 받아 자신이 죽게 되기 때문에 배신하지 않는다. 김광석, 김현식, 임재범 중에 임재범 하나 살아있는데 순수한 사람은 이래저래 죽을 확률이 높다. 죽기 때문에 협력하는 것이다.

김대중 노무현은 두 분 대통령은 순수의 스트레스 때문에 일찍 가셨지만 김영삼, 이명박은 모질게 안 죽는다. 얘네들은 스트레스 안 받는다. 속 편하게 잘 산다. 일관성을 모르기 때문이다. 아는게 병, 모르는게 약이라는 말도 그래서다.

의하여는 기계적인 메커니즘이며 최종적으로는 물리학이다. 에너지다. 인류는 어디로 가는가? 에너지가 있는 쪽, 효율성이 있는 쪽, 합리적인 쪽으로 간다. 그 길 외에는 갈 수 없기 때문이다. 왜? 그 외에 다른 쪽은 에너지가 없기 때문이다. 공산주의가 왜 망했는가? 에너지가 없어서다.

한나라당이 왜 망가졌는가? 역시 에너지가 없어서다. 집단의 의사결정이라는 본질로 보면 한나라당 노선은 에너지 과소비 노선이다. 기름이 엔꼬나서 망하는 거다. 사대강에, 세종시에, 뉴타운에, 동남권 신공항에, 과학벨트에 잔뜩 벌여놓고 의사결정을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열린우리당도 의사결정을 어렵게 했기 때문에 망가진 거다. 복지라는게 의사결정을 어렵게 한다. 근데 일단 하고나면 오히려 의사결정이 쉬워진다. 그러므로 복지는 처음에는 사람을 피곤하게 하지만 나중에는 오히려 편하게 한다.

일관성은구조의 모듈원리에 의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이명박으로 계속 이어지며, 지금 이명박 지지율이 합당한 박정희 지지율이라는 거다. 마찬가지로 히틀러 스탈린 김일성 박정희 카다피로 계속 이어지는 것이며 지금 한국에서 김정일 지지율이 합당한 박정희 지지율이라는 거다.이거 모르고 속 편하게 사는 사람 많다. 그런 바보에 오염되지 않는 것이 깨어있는 자의 중요한 전략이다.

http://gujoron.com** **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1-05-17 12:12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