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테랑은 상대와 나 사이의 유기적인 메커니즘을 본다. 입자를 보고 있는 자는 상호작용을 보는 자에게 진다. 입자를 보는 자는 표적으로 눈이 가지만 상호작용을 보는 자는 상대와 나 사이의 밸런스, 그 밸런스를 조율하는 무대 전체를 보고 있다.

◎ 표적을 보는 자는 무조건 상호작용과 그 상호작용의 변화, 그리고 그 변화의 방향성까지 보는 자에게 진다.

먼저 너를 볼 수 있어야 하고, 다음 그 너를 보고 있는 나를 볼 수 있어야 하며, 다음 그 둘 사이의 대칭구조와 그 대칭의 축을 볼 수 있어야 하며, 그 대칭구조의 작동에 따른 상호작용의 변화, 및 그 변화의 방향까지 보아야 한다.

◎ 표적을 볼 것.

◎ 표적을 보고 있는 자신을 볼 것.
◎ 표적과 자신을 통일하고 있는 대칭의 축을 볼 것.
◎ 대칭구조를 담은 상호작용의 변화를 볼 것.
◎ 상호작용의 변화의 방향까지 볼 것.

하수는 오직 상대를 치려고 할 뿐이지만, 중수는 그 상대를 상대하는 자신을 능동적으로 움직여서 공격해오는 상대의 힘을 역이용한다. 먼저 잽을 던져서 상대를 교란하고 한 편으로 상대의 허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상수는 그 둘이 대칭을 이룬 채로 공동의 토대 위에 올라서 있다는 점까지 이용할 수 있다. 둘은 한 배를 타고 있다. 고수는 그 공유한 토대를 흔드는 파도까지 이용한다. 진정한 경지에 오른 사람은 그 바다 너머의 등대까지 이용할 수 있다.

입자와 질의 차이를 아는 훈련을 해야 한다. 음식의 맛이 입자에 고정된데 비해 멋이 주인과 요리와 손님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듯이 음악도, 그림도, 문학도, 영화도, 게임도, 그러한 상호작용의 성질을 반영해야 한다. 그리고 이런 것을 알아보는 눈을 터득해야 한다.

‘옷이 예쁘다’고 생각하면 입자 마인드에 지나지 않는다. 옷으로 파트너의 주의를 끌고자 하는 것이며, 단지 주의를 끄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 옷과 그 옷을 입은 자신과 그 옷을 보고 판단하는 사람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고, 그 상호작용의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여가는 것이 진짜다.

소설이 재미있다. 그래서 좋다. 이건 입자 개념이다. 단지 재미로 소설을 읽고 단지 재미로 영화를 본다는 사람과는 대화할 필요도 없다. 대화해봤자 그다지 도움이 안 된다.재미라는 양념은 소설 안에 고정된 거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그 이상의 경지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설사 내용이 따분하고 지루하더라도 뭔가 독자를 긴장시키고, 흥분시키고, 일어서게 하고, 행동하게 해야 진짜다. 흔들어 깨우는 것이 있어야 한다. 한 명의 독자가 아니라 더 많은 독자와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방향성이 있어야 한다. 항상 다음 단계의 전개가 예시되어야 한다.

영화라도 마찬가지다. 재미가 있다거나 혹은 감동을 준다거나, 혹은 교훈을 준다거나, 혹은 무거운 주제의식이 있다거나 하는걸로 그치고 만다면 유치한 거다. 영화에 쓸데없이 복잡한 복선이나 암시, 은유, 풍자, 반전, 멜로, 코미디 이런거 잔뜩 들어가면 쓰레기다. 그야말로 산해진미를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차려서 맛있게 해놓은 거다.

그런건 상품일 뿐 예술이 아니다. 걸작이 되려면 양념 빼고, MSG 빼고, 감동 빼고, 주제 빼고, 교훈 빼야 한다. 그런 잡스러운 것들이 들어가면 도리어 예술적 확장성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다음 단계가 없기 때문이다. 등대를 바라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관객과 영화와 감독이 상호작용을 하는, 방향성을 가진, 등대를 바라보는, 다음 단계가 제시되는, 열린 구조를 가진, 진화형 생장구조를 세팅하려면 단순해야 한다. 소문난 걸작 영화들은 유치하다 싶을만큼 단순하고 강렬하다.

진짜라면 그 안에 장치가 있어야 한다. 장치는 대칭구조다. 그 장치가 작동하려면 넉넉한 여유공간이 있어야 한다. 감동, 교훈, 풍자, 주제의식 따위 잡된 것을 최소화 해야 충분한 여유공간을 얻어 나아가 새끼를 치고 아류를 낳고 유파를 만들고 흐름을 타고 시대와 교감할 수 있다. 등대를 바라볼 수 있다.

◎ 등대 – 내부에 단순한 대칭구조를 갖추고 상호작용하며 다음 단계를 바라볼 것. 외부로 뻗어나가는 확장성이 있을 것. 진화형 생장구조를 갖출 것. 아류를 생산하고 계통을 열어가고 유파를 만들 것.

#

03.JPG

04.JPG

http://gujoron.com** **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1-11-06 20:25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