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나서 친구가 되고, 프로포즈를 해서, 연인이 되고, 마침내 결혼한다는 것은 인간의 사회적인 존재규정에 불과하다. 자연에 그런 것이 있을 리 없다. 결혼을 해도 실제로는 남남이나 마찬가지거나, 아니 부부가 아주 웬수로 지내는 일도 있다. 이런 따위는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이다.

만남은 매일 일어난다. 아침에 깨어나서 만나고 저녁에 퇴근해서 또 만난다. 왜 만날까? 친하기 때문이다. 만나니까 친한 것이 아니고 친하니까 만나는 것이다. 안 친한데 왜 만나? 여기서 친하다는 말의 의미는 넓게 해석해야 한다. 예컨대 회사에서 상사와 부하의 관계도 친한 것이다. 마음속으로는 이를 가는 웬수라도 업무로는 친하다. 업무가 친한 거지 사람이 친한건 아니다. 어쨌든 친함이 있으니까 만나는 것이다.

친하다는 것은 같은 일을 하는 동료거나 같은 부대의 전우라도 마찬가지다. 그런 친함이 있으니까 만나는 것이다. 자꾸 만나다 보니 서로 간에 친함이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친구관계를 공식화 하기도 한다. 말하자면 친함은 늦게 발견되기도 하는 것이다. 늦게 발견되었어도 먼저 와 있었다.

부자유친이라고 한다. 부자간에 안 친해도 근친이다. 구조의 포지션으로 보라는 말이다. 사람이 친한 것이 아니고 포지션이 친한 거다. 친한 정도는 족보에 촌수로 나타나는데 부부는 무촌이라서 가장 가깝다. 0촌이다. 부자는 1촌이고 형제는 2촌이고 아재비는 3촌이다. 사람이 서로 사귄다는 것은 모르는 사람에게서 그러한 친함을 찾아내는 것이다. 만나다보니 친함이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원래 있던 친함이 발견되는 것이다.

동창회 모임에 계속 나오다보니 서로 눈이 맞았다치자. 계속 만나다보니 눈이 맞은게 아니라 친함이 있었으니 모임에 계속 나온 거다. 친하면 프로포즈를 하게 되는데 이는 서로간에 친함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상대방에게 확인받는 절차에 불과하다. 뭔가 통하는 것은 이전부터 있었던 것이다. 그것이 소통이다.

이렇게 추구하여 끝까지 가보면 완전성이 드러나게 되는데 보통 결혼을 완전한 것이라고 믿고 결혼에 골인하는 것으로 드라마를 끝내는 데 이건 3류 동화다. 어린애 동화니까 왕자님과 공주님이 결혼해서 잘 먹고 잘 살았단다 하고 끝내는 거지 본질로 말하면 그렇게 될 가능성은 처음부터 예비되어 있었던 것이다.

맨 먼저완전성이 온다. 그것은 처음부터 있었으며 결혼은 그것을 사회에 선포하여알리는 일에 불과하다. 결혼이 없던 원시시대에도 완전성은 있었다. 맨 처음 완전성이 있었고 그 안에 갖춤이 나오는데 여기서 스펙이라고 해놨지만 남녀간에 서로를 필요로 하는 대칭구조를 성립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예컨대 남자가 고추가 없고 여자가 자궁이 없다면 결혼은 없다. 있을게 없으면 결혼은 안 되는 거다.

예컨대 동성애자라면 남녀관계로는 불완전하다. 갖춤이 없는 거다. 스펙을 물어볼 수 있다. 혹시 동성애자냐고. 혹시 결혼했느냐고. 혹시 쥐박이냐고. 스펙이 어긋나면 남녀간의 구조적 대칭성이 성립하지 않아 관계는 깨진다.

완전성이 앞에 오고 스펙이 다음에 온다. 말하자면 동성애자와도 잠시는 사귈 수 있는 거다.결혼한 사람과도 사귈수 있고 쥐박이라도 헷갈려서 좋다는 사람 있다. 예수의 마음에 간음한 자도 이미 간음했다는 논리로 보면 관계가 더 발전하지 않았을 분 관계는 이미 성립한 것이고그 의미로 이미 결혼한 것이다. 물론 여기서 결혼이가족법의 결혼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개와 인간은 전혀결혼할 수 없다.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동성애자와는 약간 결혼할 수 있다. 불완전한 가운데도 약간의 완전성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통되지 않는다. 동성애자와의 사귐은 프로포즈 단계까지 안 가는 것이다.

완전성 갖춤 소통 친함 만남의 순서로 일은 진행되며 여기서 중간에 깨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사회적인 공식화는 그 반대로 한다. 실제로는 결혼이 먼저지만 맨 나중에 그것을 공식화 하는 것이다. 예수의 논리대로 가면 1초에 한번씩 이혼해야 하는 수가 생기기 때문이다.

완전한 만큼 갖추고, 갖춘 만큼 통하고, 통한 만큼 친하고, 친한 만큼 만난다. 보는 만큼 아는게 아니라 아는 만큼 보이는 것이다. 군대 내무반이라면 자꾸 만나다보니 친해진게 아니라 자꾸 만나다보니 웬수가 되어서 칼부림 난다.

구조론은 포지션만을 논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시길..

계속 만날 수 있다면 친구, 프로포즈, 연인, 결혼은 없어도 된다.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은 만나지 않았어도 친했다. 친하지 않았어도 친했다. 그런 사이가 있고 그런 관계가 있다. 서로에게 보탬이 되고 서로를 보완하며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가 있는 것이다. 그 경우 반드시 두 사람 사이에 공유하는 것이 있다. 연결되어 있는 것이 있다. 남진과 나훈아는 안 친하지만 친하고, 태진아와 송대관은 친하지만 안 친하다.

김제동과 이효리는 결혼을 하든 말든 결혼한 부부 이상으로 서로에게서 얻어내고 있다. 각자 두둑하게챙겨가고 있다. 친함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자주 만나는 것이며 오프라인에서 안 만나도 이미 만난 것이다. 구조론의 논리대로면 둘은 이미 결혼되어 있는 것이다. 예수가 마음으로 결혼해도 결혼한 것이라고 말했으니까.

유해진과 김혜수의 교제 기간은 짧았지만 보통 부부가 100년 동안 결혼해서 서로에게서 취한 것 이상으로 이미 챙겼을 수 있다. 그러므로 아쉬워할 이유는 없다. 시간이 길고 짧은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어느 레벨에서 스파크가 일어났는냐가 중요하다.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1-11-08 17:45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