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가 되길 바란다면(찰스 부코스키)
모든 것이 준비되었어도 당신 안에서 터져 나오는 것이 없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당신의 가슴과 당신의 정신과 당신의 입술에서, 당신의 속 깊은 곳에서 미처 묻지 못한 것이 없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적당한 말을 찾기 위해 몇 시간 동안이나 컴퓨터 화면을 쳐다보거나 타자기 앞에 웅크리고 있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돈을 바라거나 명성을 얻으려고 쓰고 있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침대에 여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쓰고 있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자리에 앉아서 먼저 쓴 걸 고치고 또 고치고 있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글쓰기에 대해 계속 생각하면서 열심히 글을 쓰고 있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다른 누군가처럼 쓰기 위해서 애쓰는 중이라면 작가가 될 생각을 잊어라.
당신 안에서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기다려야 한다면 참을성 있게 그것이 오기를 기다려라. 그리고 결코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들을 수 없다면 다른 일을 찾으라.
당신이 쓴 것을 아내한테, 여자 친구한테, 남자 친구한테, 부모한테, 아니 다른 누구한테 먼저 읽혀야 한다면 당신은 아직 준비가 되어 있는 게 아니다.
수많은 작가들처럼 되지 마라. 스스로를 작가라 부르는 많은 인간들처럼 되지 마라. 따분하고 지루하고 가식적인 작가가 되지 마라. 자기 사랑에 시간을 보내는 작가가 되지 마라.
세상의 도서관은 그런 작가들 때문에 하품이나 해 대면서 밤을 보내고 있다. 거기에 이름을 더하지 마라. 작가가 되지 마라. 당신 영혼이 로켓처럼 터져 날아가지 않는다면, 당신이 미칠 것 같거나 자살하고 싶거나 살인을 꿈꾸지 않는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당신 안에 있는 태양이 당신 내부에서 타오르지 않는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진정으로 때가 되면 그리고 당신이 선택받았다면, 저절로 당신은 작가가 될 것이고, 당신이 죽거나 당신 안에서 작가가 죽을 때까지 계속해서 글을 쓰게 될 것이다.
다른 길은 없다. 절대로 없다.
###
부코스키가 맞는 말을 했다. 깨달음도 이와 같다. 만약 깨달으려고 한다면 당신은 깨닫지 못한다. ‘위하여’가 들어가면 실패다. 의도가 들어가면 실패다. 그런데 부코스키가 빠뜨린 말이 있다. 훔쳐야 한다는 거.
의도하여 작가가 되고자 하면 결코 작가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훔치는 수 밖에 없다. 자기 안의 작가가 쓰는 것을 훔쳐야 한다. 자기 안의 작가와 사귀어 두는 수 밖에 없다.
깨달음은 도둑질과 같다. 도둑은 완성된 것을 훔친다. 도둑이 남의 밭에 들어가서 한창 자라고 있는 벼포기를 뽑아가거나 하는 일은 없다. 그들은 과실이 익을때까지 끈덕지게 기다린다. 그리고 타이밍을 맞추어 그것을 훔친다.
완전성과 반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과실이 익었는지 미처 익지 않았는지 판단하는 눈썰미가 없으면 곤란하다. 익지 않은 수박서리의 실패를 되풀이한다면 곤란하다. 진정한 작가는 글을 쓰지 않는다. 다만 안테나를 세운다.
쉬운 길이 아닐 수 있다. 훔치려면 도둑놈처럼 살금살금 돌아다녀야 한다. 부코스키가 51세가 될때까지 밑바닥을 기어다녔듯이. 김기덕 감독이 그러했듯이.
훔치기 쉽지 않다. 모나리자를 훔쳐오라고 하면 액자를 훔쳐오는게 보통이다. 훔치려면 그것을 담을 자루를 준비해야 하며 그 자루는 그 훔칠 물건보다 커야 한다. 당신 안에 큰 자루가 없다면 포기해야 한다.
연장도 갖추어야 한다. 팬터그래프가 필요하다. 팬터그래프는 다른 축적으로 복제한다. 당신은 그 물건을 조금 더 작게 혹은 조금 더 크게 다른 곳에 복제할 수 있다. 같은 사이즈로의 복제는 박물관측이 허락하지 않는다.
대도의 조건
1) 물건을 알아보는 눈썰미
2) 부호들이 사는 넓은 공간의 장악
3) 익을때까지의 끈덕진 기다림
4) 금고를 여는데 쓰는 연장
5) 물건을 담아올 자루
천하를 훔치려면 천하의 마음을 갖추어야 한다. 사회에서 먹어주는 걸로 되어 있는 도덕관념 따위에 얽매인다면 자루가 작은 것이다. 큰 마음을 얻어야 한다.
연장이 좋아야 한다. 구조론은 연장이다. 작업은 세상이 작동하는 방향과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보통은 어떤 일의 결과부분만 포착하고 시작부분은 모른다. 결과가 나와야 그것이 인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물건의 맞은편에 서서 상대하고자 하면 이미 실패다. 물건과 같은 편에 서서 함께 움직여야 한다. 소의 바깥에서 소를 잡아당기면 실패다. 소를 타고 소와 한 방향으로 가야 한다. 팬터그래프가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
무작정 기다리는 것은 바보짓이다. 떡밥을 던져놓고 물고기가 올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무작정 수행한다고 앉아있는 것은 바보짓이다. 물건을 통제할 수 있는 잔근육들을 만드는 것이다. 잔근육을 만드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점수로 착각하기 쉽지만 그것은 깨달음의 본질과 상관없다. 잔근육들은 단지 밸런스를 보조할 뿐이다. 고수가 되면 잔수도 늘지만 잔수가 늘어서 고수되는 일은 없다. 그것은 자연히 따라오는 것이다.
###
[작가가 되길 바란다면(찰스 부코스키)
모든 것이 준비되었어도 당신 안에서 터져 나오는 것이 없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당신의 가슴과 당신의 정신과 당신의 입술에서, 당신의 속 깊은 곳에서 미처 묻지 못한 것이 없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적당한 말을 찾기 위해 몇 시간 동안이나 컴퓨터 화면을 쳐다보거나 타자기 앞에 웅크리고 있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돈을 바라거나 명성을 얻으려고 쓰고 있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침대에 여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쓰고 있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자리에 앉아서 먼저 쓴 걸 고치고 또 고치고 있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글쓰기에 대해 계속 생각하면서 열심히 글을 쓰고 있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다른 누군가처럼 쓰기 위해서 애쓰는 중이라면 작가가 될 생각을 잊어라.
당신 안에서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기다려야 한다면 참을성 있게 그것이 오기를 기다려라. 그리고 결코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들을 수 없다면 다른 일을 찾으라.
당신이 쓴 것을 아내한테, 여자 친구한테, 남자 친구한테, 부모한테, 아니 다른 누구한테 먼저 읽혀야 한다면 당신은 아직 준비가 되어 있는 게 아니다.
수많은 작가들처럼 되지 마라. 스스로를 작가라 부르는 많은 인간들처럼 되지 마라. 따분하고 지루하고 가식적인 작가가 되지 마라. 자기 사랑에 시간을 보내는 작가가 되지 마라.
세상의 도서관은 그런 작가들 때문에 하품이나 해 대면서 밤을 보내고 있다. 거기에 이름을 더하지 마라. 작가가 되지 마라. 당신 영혼이 로켓처럼 터져 날아가지 않는다면, 당신이 미칠 것 같거나 자살하고 싶거나 살인을 꿈꾸지 않는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당신 안에 있는 태양이 당신 내부에서 타오르지 않는다면 작가가 되지 마라.
진정으로 때가 되면 그리고 당신이 선택받았다면, 저절로 당신은 작가가 될 것이고, 당신이 죽거나 당신 안에서 작가가 죽을 때까지 계속해서 글을 쓰게 될 것이다.
다른 길은 없다. 절대로 없다.
###
부코스키가 맞는 말을 했다. 깨달음도 이와 같다. 만약 깨달으려고 한다면 당신은 깨닫지 못한다. ‘위하여’가 들어가면 실패다. 의도가 들어가면 실패다. 그런데 부코스키가 빠뜨린 말이 있다. 훔쳐야 한다는 거.
의도하여 작가가 되고자 하면 결코 작가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훔치는 수 밖에 없다. 자기 안의 작가가 쓰는 것을 훔쳐야 한다. 자기 안의 작가와 사귀어 두는 수 밖에 없다.
깨달음은 도둑질과 같다. 도둑은 완성된 것을 훔친다. 도둑이 남의 밭에 들어가서 한창 자라고 있는 벼포기를 뽑아가거나 하는 일은 없다. 그들은 과실이 익을때까지 끈덕지게 기다린다. 그리고 타이밍을 맞추어 그것을 훔친다.
완전성과 반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과실이 익었는지 미처 익지 않았는지 판단하는 눈썰미가 없으면 곤란하다. 익지 않은 수박서리의 실패를 되풀이한다면 곤란하다. 진정한 작가는 글을 쓰지 않는다. 다만 안테나를 세운다.
쉬운 길이 아닐 수 있다. 훔치려면 도둑놈처럼 살금살금 돌아다녀야 한다. 부코스키가 51세가 될때까지 밑바닥을 기어다녔듯이. 김기덕 감독이 그러했듯이.
훔치기 쉽지 않다. 모나리자를 훔쳐오라고 하면 액자를 훔쳐오는게 보통이다. 훔치려면 그것을 담을 자루를 준비해야 하며 그 자루는 그 훔칠 물건보다 커야 한다. 당신 안에 큰 자루가 없다면 포기해야 한다.
연장도 갖추어야 한다. 팬터그래프가 필요하다. 팬터그래프는 다른 축적으로 복제한다. 당신은 그 물건을 조금 더 작게 혹은 조금 더 크게 다른 곳에 복제할 수 있다. 같은 사이즈로의 복제는 박물관측이 허락하지 않는다.
대도의 조건
1) 물건을 알아보는 눈썰미
2) 부호들이 사는 넓은 공간의 장악
3) 익을때까지의 끈덕진 기다림
4) 금고를 여는데 쓰는 연장
5) 물건을 담아올 자루
천하를 훔치려면 천하의 마음을 갖추어야 한다. 사회에서 먹어주는 걸로 되어 있는 도덕관념 따위에 얽매인다면 자루가 작은 것이다. 큰 마음을 얻어야 한다.
연장이 좋아야 한다. 구조론은 연장이다. 작업은 세상이 작동하는 방향과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보통은 어떤 일의 결과부분만 포착하고 시작부분은 모른다. 결과가 나와야 그것이 인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물건의 맞은편에 서서 상대하고자 하면 이미 실패다. 물건과 같은 편에 서서 함께 움직여야 한다. 소의 바깥에서 소를 잡아당기면 실패다. 소를 타고 소와 한 방향으로 가야 한다. 팬터그래프가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
무작정 기다리는 것은 바보짓이다. 떡밥을 던져놓고 물고기가 올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무작정 수행한다고 앉아있는 것은 바보짓이다. 물건을 통제할 수 있는 잔근육들을 만드는 것이다. 잔근육을 만드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점수로 착각하기 쉽지만 그것은 깨달음의 본질과 상관없다. 잔근육들은 단지 밸런스를 보조할 뿐이다. 고수가 되면 잔수도 늘지만 잔수가 늘어서 고수되는 일은 없다. 그것은 자연히 따라오는 것이다.
###
](?mid=Moon)
남의 집 담을 넘는다고 해서 다 도둑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름난 소도둑이 되려면 3초 안에 소를 길들일 수 있어야 합니다. 소를 타고 유유히 빠져나와야 합니다. 고삐잡고 소와 씨름하고 있으면 곤란합니다. 단지 소의 귀에다 대고 연봉을 두 배로 올려주겠다고만 말하면 됩니다. 먼저 소의편에 서지 않으면 안 됩니다.
http://gujoron.com/xe/?mid=Mo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