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 마음은 어디서 나왔나?

종소리는 어디서 나왔을까요? 소리에서 나왔습니다. 특수는 보편에서 나옵니다. 그 소리는 그냥 소리가 아니고 보편의 소리입니다. 이 원칙은 모든 분야에 적용됩니다. 이번 문제는 마음은 어디서 나왔느냐입니다?

마음은 어디서 나왔을까요? 마음은 마음에서 나왔다고 대답할거 같은데 그 마음이 무슨 마음이냐는 질문입니다. 보편에서 특수가 나온다고 했으니 보편적인 마음에서 나왔다고 대답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보편적인 마음은 무엇입니까?

비는 하늘에서 내려오는게 아니고 물에서 나옵니다. 세상의 모든 물은 한 덩어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돌은 돌에서 나오고 나무는 나무에서 나옵니다. 그런데 연결되어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마음은 한 덩어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빛은 태양에서 오는게 아니고 우주에 가득찬 빛에서 나옵니다. 우주흑체복사인데 그 온도는 영하 270도입니다. 온도에서 빛이 나온다는게 흑체복사입니다. 우리는 밤 하늘이 깜깜하다고 말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가시광선만 볼 수 있기 때문이고 실상 우주는 하얗게 빛나고 있습니다. 빛으로 가득차 우주 전체가 한 덩어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신은 왜 터무니없이 우주를 크게 만들어 텅 비워 있게 했을까? 아닌데요? 우주는 빈틈없이 꽉 차 있는데요? 바늘 꽂을 틈도 없는데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우리의 상식이 틀렸습니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이런 저런 판단을 하고 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좌표들이 있습니다. 우주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존재란 무엇인가? 사회란 무엇인가? 인간이란 무엇인가?

구조론은 여기에 상식과 다른 답을 제시합니다. 모든 종교는 다 같다구요? 천만에. 앎과 모름은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깨달음과 그렇지 못함은 커다란 차이가 있습니다. 모든 가르침이 다 같은데 아니고 분명히 다릅니다. 그 가르침을 갈구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다 같을 뿐입니다.

그 차이는 대상을 통제할 수 있느냐입니다. 대상과 상호작용할 수 있느냐입니다. 대상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느냐입니다. 하나가 아니면 안 됩니다.

둘과는 대화할 수 없습니다. 머리가 둘 달린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과의 대화는 피곤해질 것입니다. 입이 둘 달린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과의 대화는 힘들어질 것입니다. 상호작용의 현장에서 대상은 반드시 하나여야 합니다. 하나이려면 상부구조에서 만나야 합니다. 하부구조에서는 제어할 수 없습니다.

마음은 어디에서 나왔습니까? 주관식입니다.

1) 욕망에서 나왔다.

2) 부처에서 나왔다.
3) 존엄에서 나왔다.
4) 관계에서 나왔다.
5) 유전자에서 나왔다.

힌트 – 빛은 어디에서 나왔는가? 빛은 빛에서 나왔다고 하면 동어반복이고 우주흑체복사에서 나왔다고 해야 ‘이 분 뭔가를 아시네’ 하고 감탄합니다. 빛은 온도에서 나온 겁니다.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2-12-27 18:18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