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에도 방영된 모양인데 보나마나 거짓말입니다.
적도업자들이 먹고 살 요량으로 지어낸 생계형 거짓말인데 문제는
1) 위 수조실험에서 물회오리가 생기지 않는 이유는?
2) 다른 수조에서 물 회오리가 생기는 이유는?
힌트는
많은 사람들이 구조론의질 개념을 모르겠다고 말하는 이유가
질에서 입자로 변화는 과정을 모르기 때문이 아닌가 해서 질문합니다.
질에서 입자로의 변화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자연현상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광범위하게 나타납니다.
결론적으로 질 입자는 주변에서 흔히 보는 자연현상인데
이걸 본 적이 없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는게 문제입니다.
일상적으로 늘 보는걸 못봤다고 하면 저도 할 말이 없지요.
P.S
답에대략 근접했으므로 문제를 추가하겠소.
이건 어려우니 못 맞추어도 되오.
이 실험(심이 의사결정 속도를 빠르게 하는 사실-오세님 답변)과 관련하여
인간이 왜 보수, 혹은 진보가 되는지 설명하시오.
왜 젊은이는 진보가 되고 노인은 보수가 되는지 말하시오.
왜 친구가 있는 사람은 진보가 되고 없는 사람은 보수가 되는지 말하시오.
힌트
1) 심이 없을 때는 자기자신을 심으로 삼는다.
2) 하나의 기승전결 안에도 그러한 심과 날의 구조가 있다.
3) 심과 날의 의사결정원리는 대칭성(상호작용)을 기본으로 핑퐁원리로 전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