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edia.daum.net/politics/newsview?newsid=20130313134007173

이 기사를 참고해도 좋다. 내용은 볼거없다. 농축산물 유통구조 문제는 한 두 해 거론된게 아니다. 말 나온지 20년도 더 됐다. 필자의 기억이 20년이고 실제로는 백년이 넘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왜 해결이 안 될까? 위 기사에 대한 필자의 시사 리트윗 평은 이러하다. http://gujoron.com/xe/332403

근혜야! 근혜야! 박근혜야.

너한텐 그게 제일 만만하지. 그치?

그건 니가 자본주의를 이해 못했다는 증거란다.

그건 니가 시장원리를 이해 못했다는 증거란다.

그건 니가 사회생활 경험이 일천하다는 증거란다.

혁명가들이 만만히 보고 덤볐다가 골로가는 단골코스다. 같은 사과 한 개가 100원도 되고 1만원도 되는 이유를 납득할 때 진짜 이야기가 시작된다. 자칭 진보들 중에도 자신이 무지하여 시장원리, 자본주의 시스템을 이해못한다는 것을 무기로 쓰는 자가 대부분이다. 무식한게 무기.

그래 세상이 만만히 보이지? 그치?

농산물 문제가 ‘거래의 문제’라고 믿는 한 절대로 답은 나오지 않는다. 정답은 거래가 아니라 가공이다. 가공되지 않는 반쪽짜리 불완전한 농산물을 판매하는 한 구조적으로 황당한 사태는 계속된다.

밭에서 캔 채소는 상품이 아니다. 가공하면 가격은 비싸질 수 밖에 없다. 해법은 가격이 비싸더라도 가공, 포장, 선별, 보관, 숙성된 2차 완제품을 파는 거다. 그래야 농민도 살고 소비자도 산다.

배추 한 포기 가격이 1000원이라도 농민은 충분한 이익을 낸다. 어차피 일은 트랙터가 하지 농부가 하나? 고랭지 채소 밭떼기라면 말이다. 그걸 어떻게 뽑아서 운반해서 소비자의 식탁에 올리느냐가 진짜 기술이다.

여기서 답을 찾아야 한다. 이게 교착을 타개하고 한 방향으로 몰아가는 즉 방향제시다. 한비가 논한 바 세(勢), 법(法), 술(術)의 전개에서 첫 번째 원칙인 세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농민이 1차 생산에 머무르는 한 절대적으로 망하게 되어 있다. 구조적으로 한 단계를 도약할 때 가격은 5배가 적정하다. 썩은 사과는 반값에 파는게 아니고 그냥 버리는 거다. 이걸 이해해야 한다.

추석선물용 송이버섯과 추석지난후 송이버섯 가격은 5배가 적당하다. 유럽 말고기 파동으로 못 쓰게 된 말고기는 북한에 주는게 아니라 폐기하는게 맞다. 주면 계속 줘야지 한 번 주는건 더 나쁘다.

관광객들이 인도의 오지 마을에 가서 어린이들에게 과자를 던져주면 그 아이의 인생을 망치는 거다. 그 아이는 평생 그 관광객을 기다리다 지쳐서 증오심을 품는다. 그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

전체과정을 책임지지 않으면 안 된다. 이거 모르면 성남시의 경차택시 같은 뻘짓한다. 왜 경차택시가 망하는지 이해했는가? 그게 정신병자짓이라는거 모르겠는가? 중형차 택시를 대형차로 키워야 할 판이다.

박원순의 반값식당이나 대형마트에서 막걸리 못팔게 해서 중소기업 말려죽이는 짓도 마찬가지다. 그게 정신나간 짓이다.

대형마트를 막을게 아니라 재래시장에 주차장을 만드는게 정답이다. 구멍가게 서비스를 편의점 수준으로 끌어올리는게 정답이다. 일이 되는 방향으로 풀어가야 한다. 에너지가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그게 방향제시다.

‘사람이 먼저다.’

중요한건 피아구분입니다. 우리편이냐 아니냐입니다. 지금 안철수의 정치행태로 보면 그는 우리편이 아닙니다. 민주당에 입당한다 해도 우리편은 아닙니다. 우리와 소통하지 않고, 우리와 집단지능을 형성하지 않고, 우리가 가진 자원을 십분 활용하지 않으면 우리편이 아닙니다. 안철수는 잘봐줘도 이용가치 있는 일회용 소모품입니다.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3-13 17:10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