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강사 김미경이라는 사람이 강연 중에 인문학을 폄하했다는 뉴스가 포털 사이트 메인에 뜬다. 곧 오해라는 해명이 뒤따른다. 아마 그 말이 맞을 것이다. 오해일 것이다. 그런데 말이다.

어떤 사람이 강연 중에 한 개인적 발언이 왜 뉴스가 될까? 문제는 타이밍이다. 대중의 역린을 건드린 것이다. 울고 싶은데 마침 뺨 때린 거다. 그렇다. 지금 한반도의 하늘에 우울한 공기가 감돌고 있다.

온통 나쁜 소식 뿐이다. 말하자면 준비 안된 여통령의 삽질 때문에 잘 나가던 스타 강사가 유탄을 맞은 것이다.

서점가에 자기계발서가 넘쳐나게 된 것이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김미경 소동을 지켜보고 필자도 한 마디 해줘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김미경에게 하는 말은 아니다. 김미경의 말을 듣고 화가 난 사람들에게 당신들이 왜 화가 났는지 말해주고 싶은 것이다.

지금 대한민국이 진정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이냐다. 사람들은 힐링이라고 말한다. 틀리지 않았다. 나는 우리편이라고 말한다. 지금 한국인들에게는 끝끝내 옹호해줄 사람, 마지막 순간에 편들어줄 사람, 일관되게 지지해줄 사람이 필요하다. 많은 사람에게 손가락질을 받아도 그래도 나는 당신이 옳다고 생각한다고 말해줄 사람이 필요하다.

월든의 소로는 ‘콩코드 강과 메리맥 강에서의 일주일’을 7권 밖에 팔지 못했지만 그래도 씩씩함을 잃지 않았다고 한다. 고흐는 동생 테오 덕분에 겨우 한 점을 팔 수 있었지만 결코 외롭지 않았다. 왜인가? 그들은 전환기에 태어나서 시대의 변화가 일어나는 현장을 목격한 증언자였기 때문이다.

나는 지금 한국인들의 마음이 월든 호숫가의 소로와 같고 아를의 고흐와 같다고 믿는다. 그렇다. 한국인들은 새로운 길을 가고 싶어 한다. 그럴 조짐은 도처에 흔하다. 한류가 뜨고 있다. 싸이가 15억뷰를 올리고 있다. 김연아가 휩쓸고 있다. 한국영화가 극장 좌석의 70퍼센트를 점유하고 있다. 대기업도 잘 되고 있다. 거의 손에 잡힐 듯 하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이 현실은 냉정한 법이다. 앞서가는 자의 고난을 피해갈 수 없다. 고흐는 결국 죽었다. 소로도 사후에 진가가 알려졌다. 새로운 길을 발견하고 그 길을 가고 싶어 하는 마음과 여전한 현실의 찬 바람 속에서 한국인은 갈등하고 있다.

춘래이불사춘이라 했던가? 봄은 왔으나 봄은 아직 오지 않았다. 일전에 어떤 분의 칼럼을 읽었는데 영화 머니볼은 내용이 상당히 과장되었다고 한다. 영화는 오클랜드 어슬레틱스 단장 빌리빈이 단 1년만에 멋지게 성공한 것처럼 묘사되었지만 실제로는 10년이나 걸렸다고 한다.

김성근 감독도 제대로 실적을 내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옳은 길을 선택했다고 해서 곧바로 실적이 나와주는 것은 아니다. 하긴 스티브 잡스도 진가를 인정받았을 때는 죽음이 코앞에 와 있었으니.

그렇다. 한국은 국제무대에 막 데뷔한 참이다. 한국인들은 세계 앞에서 무언가 보여주고 싶어 한다. 그들은 지금 흥분해 있다. 나는 지금 한국인들의 마음이 르네상스 시대의 피렌체인과 비슷할 것이라고 본다. 물랭루즈에 모여든 19세기 인상파 화가들과 비슷한 기분이라고 여긴다. 세상을 다 가질 것 같지만 현실은 시궁창이다. 그럴 때 우리편이 필요하다. 격려가 필요하다. 지지자가 필요하다.

세상이 하룻만에 바뀔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천천히 바뀐다. 대중이 인상파 화가들을 인정하게 되는 데는 실상 사실주의와 자연주의를 거쳐 거진 백년이 걸린다. 왜인가? 그림이 바뀌는건 바뀌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음악이 바뀌고. 건축이 바뀌고, 패션이 바뀌고, 삶이 바뀌고 다 바뀌어야 한다.

인상주의 화가들의 이름이 언론에 오르내리고 유명세를 탔다고 하나 그것은 맛보기에 불과하다. 마네와 모네가 날고 길 때도, 세잔이 명성을 떨칠 때도 진정한 변화는 시작되지 않았다.

남자는 회사에서 일을 하고 여성은 집에서 아기를 돌본다는 전통적인 삶의 형태가 유지되는 한 참된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2차대전이 일어나고 남자들이 전쟁터에 간 사이에 여성이 공장에서 일을 하게 되면서부터 진정한 변화는 일어났다. 드레스와 코르셋을 벗어던지고 전시바지를 입기 시작한 뒤에야 변화는 이루어졌다. 8000만명의 시체가 산과 들을 뒤덮고서야 사람들은 정신을 차렸다.

대중들이 인상주의를 겉멋이 아니라 진정으로 이해한 것은 그때가 되어서였다. 예술은 앞서가면서 길을 연다. 대중의 오해와 편견은 당연한 것이다.

김미경들의 자기계발서는 열등감을 판매하는 상업에 불과하다. 성공이냐 실패냐가 우리의 삶의 기준은 아니다. 중요한건 우리편이냐다. 우리편이면 다 용서되고 적이면 다 징벌된다. 전태일은 죽었지만 우리편이었다. 그의 삶은 성공이다. 윤봉길은 죽었지만 우리편이기에 그의 삶은 성공이다,

왜인가? 우리의 길은 멀기에, 우리가 가는 길은 함께 가는 길이기에. 세상은 기어코 변한다. 진정한 평가는 그때 가서 얻어진다. 김미경소동.. 어쩌면 시대의 변화를 알리는 전조일지도 모른다.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03-21 19:08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