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이든, 철학이든, 종교든 진짜 목적은 뭘까? 그것은 인격자를 만나 관계를 맺고 자존감을 회복하는 것이다. 종교라면 그렇다. 일단 목사들은 인격자로 간주된다. 인격이 없다고? 하느님의 인격을 대리한다.

하느님은 인격자로 설정되어 있다. 목사는 하느님을 대리하므로 인격자로 간주된다. 그렇다 치기로 합의해뒀다. 그 다음은? 관계를 맺고 소속감을 느끼는 것이다. 거기서 자존감을 얻는다? 왜 그렇게 하느냐고?

인간은 원래 동굴원숭이 후예다. 동굴에서 수십명씩 모여 살았다. 모여 사는 본능이 있다. 근데 모여 살면 쌈난다. 모여 살고는 싶은데 막상 모이면 피곤하니까 간헐적으로 모인다. 기독교는 일주일마다 모인다.

불교는 법회때 모이고 유교는 제사때 모인다. 자주 모이면 얼굴 붉힐 일 생긴다. 가끔 모이자. 결국 인간은 무리를 짓고 집단 안에서 일정한 역할을 가져야 자존감을 얻고 하루를 살아갈 수 있는 동물인 거다.

이거 인정해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집단의 실체가 있느냐다. 지하철 역에 우르르 모여있는 승객들은 집단인가? 아니다. 말이 집단이지 실제로는 다 남남이다. 가족도 실제로는 남남이다. 이거 인정해야 한다.

가족을 만만히 보다가 원한이 쌓인다. 가까울수록 조심해야 한다. 그래서 현장에 없는 사람을 구심점으로 만든다. 유교는 조상을 핵으로 삼는다. 조상은 없으니까 원한 쌓일 일이 없다. 기독교는 하느님이다.

그래서 허무하다. 차례상 차려놓고 절하는게 사실이지 우스운 거다. 절하다가 웃음 터진 적 없는가? 왜 이런 등신짓을 하고 있지? 기도는 무엇이며 묵주는 또 무엇인가? 그게 다 우상이다. 성경이 큰 우상이다.

진짜라면 성경 버리고, 기도 버리고, 교회 버리고, 목사 버려야 한다. 그런게 왜 나오냐고? 그래서 인격자가 필요하다. 생생한 말을 던져줄 수 있는 살아있는 구심점이 필요하다. 팽팽하게 긴장된 실체가 필요하다.

노자든 석가든 2500년 전 사람이다. 그들은 당대의 천재였다. 천재들과 관계를 맺고, 그룹에 소속되어 집단이 나아가는 방향을 함게 바라본다는 것은 실로 전율할만 한 것이다. 거기서 담대한 기운을 얻는다.

지금은? 그 천재들이 IT사업 하고 있다. 수학문제 풀고 있다. 비트코인 캐고 있다? 종교계엔? 찐따들이 몰려있다. 당대의 천재는 딴 곳으로 가고 찌질이들이 목사하고 스님하고 명상한다. 절에서 고스톱 친다.

명상이 맛탱이가 간 이유는 인격자가 빠져나가고 아닌 아저씨들이 빈 자리를 채웠기 때문이다. 공자나 장자는 당대의 천재였다. 그들은 새로운 사유의 모형을 제시했다. 혜능이나 달마도 마찬가지다.

경허나 성철도 당대의 천재다. 적어도 사회에 하나씩 던져준 화두가 있다. 지금은? 둔재들만 소복이 모였다. 천재가 미쳤다고 거기 가서 쭈그리고 앉아 있겠냐고? 옛날에는 시를 써도 천재들이 시를 썼다.

윤동주나 소월이나 이상은 당대의 천재다. 지금은? 정명석이 형이 시 쓴다. 그러므로 존경할 수가 없다. 전율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똥꼬가 뻑쩍한 기운이 머리꼭대기까지 차올라주지 않기 때문이다.

상태가 안 좋은 형님들이 와서 뭐를 내려놓으라는둥 평상심을 가지라는둥 하며 시시한 소리나 하고 있다. 그때 그시절은 호흡이 느렸다. 강물이 흘러도 천천히 흘렀다. 지금은 급류다. 기본 물살이 빠르다.

잠시 정신줄 내려놓았다가는 물에 빠진다. 내려놓지 마시라. 지금은 술집에서는 마셔주는게 평상심이요 클럽에서는 흔들어주는게 평상심이요 페이스북에서는 좋아요를 누질러 주는게 평상심이다.

트위터에서는 리트윗이 평상심이고 게시판에서는 댓글 달아줘야 평상심이다. 술집에서 점잖게 가부좌틀고 앉아있으면 졸라리 어색하다. 평상심은 결코 평상심이 아니다. 왜? 강물의 흐르는 속도 때문이다.

빠른 대목에서는 빨라주는게 평상심이다. 굵은 대목에서는 굵어주는게 평상심이다. 리듬을 타고 흔들어줘야 한다. 지휘자가 괜히 앞에 가서 서 있겠냐고? 결국 깨달음이든 철학이든 종교든 본질은 같다.

우리가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며, 무리가 한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것이며, 그 핵이 과거의 죽은 조상이 아니라 팔팔하게 살아있는 현재인물이라는 것이다. 거기서 자존감을 얻는다는 거다.

지금 전율할 말씀을 던져주는 사람은 프란치스코 교황 정도다. 지금 자본과 공동체의 균형이 무너져서 큰 배가 파도와 탁 부딪히며 요동칠 때 되었다. 이런걸 찔러주는게 진짜다. 정신차리게 해줘야 한다.

자기 마음 안에는 평상심이 없다. 우주와 함께 호흡하지 않으면 그대는 결코 편안할 수 없다. 왜? 자존감이 없기 때문이다. 인간은 원래 전체와 하나로 연동되어 반응하도록 세팅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론은? 우상을 버리라는 거. 성경책부터 던져버려라. 인류의 대표자 마음을 가져라. 세상 전체와 접속하라. 선은 굵게 가고 색은 진하게 가라. 오르면 에베레스트요 연주하면 라흐마니노프라.

그리면 고흐요 여행하면 세계일주요 쪼개면 양자역학이요 합치면 신의 완전성이요. 스케일 크게 가라. 나발을 불어도 바그너처럼 볼때기 터지게 빵빵 불어라. 어중간하니 소심하게 가지 말라. 큰 물에서 자존감을 얻어라. 그것이 당신의 본래 목적이다.

P.S.

뒤가 허전한게 정작 하고자 했던 이야기를 빠뜨렸다 싶은데. 중요한건 의연한 자세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계속해야 한다는 거. 그러려면 극을 바라봐야 한다는 거. 절대적인 극한의 경지. 최고의 인격.

봉건시대에 신부나 승려는 당대의 최고 엘리트였다는 거. 어떤 사회든 그 사회의 최고 엘리트가 가는 데로 가는 거. 근데 지금은 그들이 숨어버렸다는 거. 아인슈타인 혀 내민 사진도 기자의 편집인 거.

명상을 하든 종교를 하든 철학을 하든 우수에 젖은 얼굴 펴고, 좀 멋쟁이가 되고 잘나빠져야 된다는 거. 스타가 되면 폼도 좀 잡아줘야 한다는 거. 스타가 되어서 어데 절하고 다니면 짜증남. 엿밥임.

예수보다 유명하지 않으면 TV에 나오지 말라고. 비틀즈는 그런 기개가 있었자너. 서태지는 왜 그런 기개가 없냐고. 스타는 잘나빠져주는게 최고의 팬서비스. 종교든 철학이든 명상이든 마찬가지.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3-12-03 11:55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