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매체에 쓰려고 초를 잡아본 글의 도입부입니다.

###

필자가 강신주에게 특별히 유감이 있어서 하는 말은 아니다. 강신주가 나쁜 사람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아마 강신주도 열심히 제 앞가림 하고 사는 사람일 터이다.

한 번은 대화 중에 강신주가 언급되길래 ‘그것은 철학이 아니다.’고 말해주었다. 놀아나는 꼴이 같잖아서 한 마디 한 거였다. 며칠 후 갑자기 뉴스에 강신주 이름이 뜨더라.

노숙자가 어떻고 하며 한 마디 했다는 거다. 노숙이라고? 다른건 몰라도 노숙에 대해서라면 내게 물어봐야 한다. 필자는 철학적인 번민에 빠져 산천을 주유하며 반 노숙을 10년 가까이 했던 사람이다. 조지 오웰의 ‘파리와 런던에서의 편력시절’을 떠올려도 좋다.

며칠 후 강신주가 TV에까지 진출하며 또다시 이슈가 되길래 말 나온 김에 몇 마디 더 보태게 되었다. 일이 커져서 이왕 이렇게 된 김에 책을 한 권 써볼까 하고 마음먹을 판이다. 여러 건이 겹쳤는데 우연 치고는 신기한 일이다.

강신주가 나의 관심은 아니다. 철학이 나의 관심이다. 무엇이 나를 10년의 방랑생활로 이끌었는가다. 밥먹기를 포기하고, 잠자기를 포기하고, 사회생활을 포기하고, 인생을 통째로 걸고 사색에 몰두하게 한 원동력은 무엇이었나다.

애송이 고등학생으로 하여금 새벽 1시에 뜨거워진 가슴을 주체하지 못하여 경주남산 일주도로를 한 바퀴 돌고 오게 한 그것은 무엇이었나이다. 귀신이 나올 법한 숲 속의 옛 왕릉에서 몇 시간째 꼼짝않고 앉아있게 한 그것은 무엇이었나이다. 동쪽에서 서쪽까지 태백산맥 넘어 동해에서 서해까지 일직선으로 똑바로 걷게 한 것은 무엇이었나이다.

그것은 에너지다. 그것은 자던 사람을 벌떡 일어나게 한다. 그것은 굽은 것을 곧게 펴게 한다. 그것은 도공으로 하여금 멀쩡한 도자기를 트집잡아 깨뜨리게 한다. 그것은 모든 가라앉은 것을 일으켜 세운다. 그것은 모든 멈춘 것을 달리게 하고, 모든 죽은 것에 피를 돌게 한다.

그것은 세상 모두를 시시하게 만든다. 그것은 부자를 얕잡아보게 만들고, 미인을 우습게 보게 만들고, 보석을 돌같이 여기게 만들고, 제왕을 똥바가지로 알게 만들고, 건희와 몽구를 코찔찔이 꼬맹이로 만든다.

그것은 철학의 힘이다. 철학은 철학아닌 것을 비웃게 한다. 이를테면 강신주 같은 것 말이다. 성철이 코웃음치며 산에서 내려오지 않음으로써 비로소 큰 소통을 이루었듯이, 부지런히 소통장사에 나서지만 실제로는 전혀 소통하지 못하는 가짜를 조롱하게 만든다. 그래서 철학은 힘이 세다.

사람들은 세상에 다양한 철학이 있다고 여긴다. 틀렸다. 실은 하나의 철학에 대한 다양한 시선이 있다. 하나의 철학이 다양하게 변주된다. 산의 정상은 하나 뿐이다. 철학은 학문의 정상이다. 그러므로 철학은 하나 뿐이다.(하략)

필자가 강신주를 비웃게 된 것은 철학자라면 하루에 기본 10시간은 엉덩이 붙이고 앉아서 생각을 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똥쌀시간이 아까워서 똥참다가 치질에 걸려야 한다. 머리가 하얗게 세어야 한다. 바보가 아닐진대 좋은 것을 남 주지 않는다. 생각이라는 좋은 것을 왜 남주냐 말이다.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03-17 23:42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