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한 것은 분별하고 움직이는 것은 다룬다
‘동적균형’을 깨닫는 것이 깨달음이다. 고정된는 것을 분별할 줄 아는 것이 일반의 지식이라면, 움직이는 것을 다룰 줄 아는 것은 깨달음이다. 동적균형을 알아야 움직이는 것을 다룰 수 있다.
깨달음의 앎이 필요한 것은 움직이는 것이다. 그것은 살아있는 것. 점차 성장하는 것이다. 움직이는 자동차, 살아있는 사람, 항해하는 배, 발전하는 조직, 성장하는 기업, 사랑하는 사람과 같다.
그냥 아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그것을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대상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는 가로막는 장벽이 있다. 그것은 관점의 문제이다. 대상과 나 사이에서 관계설정의 문제이다.
자동차를 운전하려면 차에 올라타야 한다. 움직이는 자동차를 세워야 그 자동차에 올라탈 수 있다. 그 자동차의 움직임을 따라잡아야 한다. 달리는 야생마를 길들여야 한다. 깨달음이 필요하다.
모든 움직이는 것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의사결정이다. 의사결정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어나고, 상호작용은 토대의 공유에 의하여 일어나고, 토대의 공유는 동적균형에 의하여 일어난다.
◎ 깨달음≫의사결정≫상호작용≫토대공유≫동적균형
모든 존재는 내부에 움직임을 담고 있다. 가만있는 것처럼 보여도 내부에서는 활발하게 운동하고 있다. 양자단계에서 중력과 상호작용하고 있다. 강력과 약력, 전자기력과도 상호작용하고 있다.
그것은 에너지다. 자연에는 에너지 처리의 동적균형이 있고, 사회에는 권한행사의 동적균형이 있고, 마음에는 존엄의 동적균형이 있다. 동적균형을 통해 자연과 사회와 인간은 의사결정한다.
깨달음은 에너지에 의해 운행되는 자연과, 권한에 의해 운행되는 사회와, 존엄에 의해 운행되는 인간의 의사결정원리를 깨닫는 것이며, 그 답은 동적균형이다. 계 내부에 무엇인가 숨어 있다.
당구공을 쳤는데 당구공이 예상된 방향으로 굴러갔다면 원인은 당구공에 있지 않고 당구공을 친 사람에게 있다. 그런데 만약 당구공이 전혀 엉뚱한 곳으로 갔다면? 원인은 당구공 자체에 있다.
그 당구공은 보통의 당구공이 아니라 스핀이 걸린 당구공이다. 파워볼과 같다. 내부에 RPM이 걸려 있다. 돌아가는 팽이와도 같다. 생명있는 것처럼 살짝 건드려도 강하게 튕기는 것이 있다.
당구공이 아니라 만약 살아있는 생쥐라면 어떨까? 자연의 사물 내부에 에너지가 숨어 있다면, 사회의 조직 내부에 권한이 숨어 있다면, 인간 내부에 존엄이 숨어 있다면 예측대로 가지 않는다.
당구공이 가는 방향은 큐대가 정하지만 생쥐가 가는 방향은 생쥐가 결정한다. 자연은 에너지가 결정하고, 사회는 권한이 결정하고, 인간은 존엄이 결정한다. 결정하는 측이 사건의 원인이다.
자연의 원인은 에너지, 사회의 원인은 권한, 인간의 원인은 존엄이다. 자연 내부에 에너지라는 스핀이 걸려 있고, 사회 내부에 권한이라는 스핀이, 인간 내부에는 존엄이라는 스핀이 걸려 있다.
그것이 동적균형이다. 존재는 사건이며 사건은 동적균형을 통해 에너지를 처리한다. 동적균형을 잃으면 토대의 공유에 실패하여, 상호작용을 일으키지 못하므로 에너지 작용을 처리할 수 없다.
의사결정에 실패하는 것이다. 의사결정에 실패하면 존재는 무산된다. 자동차는 고장나고, 사람은 죽고, 배는 침몰하고, 정부는 붕괴하고, 국가는 정복당하고, 조직은 해체되고, 기업은 망한다.
반대로 자동차를 운전하고, 사람을 살리고, 배를 띄우고, 국가는 부흥하고, 조직은 발전하고, 기업은 번영하고, 일은 지속되어야 비로소 존재의 지위를 얻는다. 동적균형이 그것을 가능케 한다.
존재는 그냥 존재가 아니라 사건의 존재이며, 살아있는 존재이며, 에너지를 처리하는 존재다. 삶과 죽음 사이에, 존재와 부재 사이에, 무엇이 있는가? 에너지 처리가 있다. 의사결정원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