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작용

세상은 너와 나 사이에 존재한다. 너는 내게 보여지는 대상이고, 나는 그것을 보는 관측자다. 보이는 너를 볼줄 알아도, 보는 나를 볼줄 모르는데서 인간의 오류는 시작된다.

정치가가 옳은 판단을 하는 것은 보이는 너를 본 정도가 결정하고, 그것을 집행할 수 있는 의사결정구조를 만드는 것은 보는 나를 본 정도가 결정한다.

대개 옳은 판단을 해놓고도 그것을 집행하는 구조를 못 만들어 대중의 신뢰를 상실한 결과로 선거에 패하게 되는 것이다. 보이는 대상과 보는 나의 복잡도는 같아야 한다. 복잡한 것은 복잡하게 보아야 한다.

대신 그 상호작용의 관계는 단순해야 한다. 복잡한 계산은 복잡한 컴퓨터로 풀어야 하지만 그 실행은 클릭 하나로 단순해야 한다. 아이폰처럼 다루기 쉬워야 한다.

그것은 동적균형에 의해 가능하다. 단순한 것은 정지한 것이요 복잡한 것은 움직이는 것이다. 움직이는 상태에서 움직이는 것은 가속도다.

그 가속도가 만드는 것은 방향성이다. 그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이 동적균형이다. 균형이되 정지한 균형이 아니라 움직이는 균형을 끌어내는 자가 천하를 해결한다.

정지한 것은 원래상태요 움직이는 것은 그 관측결과가 뒤집어지는 역설이며, 움직이는 상태에서의 움직임은 에너지의 주인이 바뀌는 이중의 역설이다.

이에 도달하였을 때 존재는 건축된다. 회화는 실내의 장식에서 야외의 건축으로 도약한다. 그것이 인상주의다. 문학 역시 화려한 수사법을 쓰는 실내장식에서 문체의 변화를 끌어내는 건축으로 도약한다.

이는 헤밍웨이의 견해다. 음악 역시 평면적 음악에서 입체적 음악으로 도약한다. 정치도, 경제도, 사회도, 유행도 마찬가지다. 이중의 역설을 이해하라.

산은 산이고 물은 물입니다. 주어 뒤에 동사가 붙는게 아니라 언어 위에 언어가 건축됩니다. 그것은 평면의 실내장식이 아니라 입체의 공간건축입니다. 문학이든 음악이든 미술이든 영화든 깨달음이든 공간 위에 건축되지 않은 것은 가짜입니다. 언어 위에 올라가지 않은 언어는 언어가 아닙니다.중첩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에너지가 없기 때문입니다. 에너지가 풀리는 방향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4-12-31 13:52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