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할줄 아는 것이 깨달음이다. 그러나 반응하라고 하면 홀려버리는게 보통이다. 높은 층위에서의 부르는 목소리에 반응하지 않으므로, 작은 것에 지나치게 잘 반응한다. 음식의 맛에 반응하는건 좋지만, 맛에 집착하면 향을 모른다. 향에 집착하면 분위기를 모른다. 분위기에 집착하면 소통을 모른다. 그러므로 만나야 할 사람을 만나지 못한다. 유쾌한 긴장 안에서 호흡하지 못한다. 상대방에게 홀리지 말고 내가 상대방을 홀릴 때 통한다. 그래야 만난다. [생각의 정석 69회]

호응하는 것이 깨달음이다. 그러나 낮은 단계에 반응할 뿐 높은 단계에 호응하지 못한다. 역할을 나누고, 칸을 나누고, 담장을 쌓고, 격리하는 방법으로 구조 안에서 잘 반응할 뿐 그 역할과 구조를 넘어서지는 못한다. 내 안에 에너지가 없기 때문이다. 유혹할 수 있어야 한다. 유혹에 잘 넘어가는 방법으로 유혹할 수 있다. 높은 단위의 유혹에 넘어가는 방법으로, 낮은 단위의 상대를 유혹한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진리로 유혹하고, 천하로 유혹해야 한다. 그것이 호응이다. 반응은 안에서 응답하고 호응은 밖에서 응답한다. 반응에 그치지 말고 호응으로 올라서야 한다.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3-08 14:47

Read more posts by this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