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정리목적의 글입니다.
-
질은 결합하고, 입자는 독립하고, 힘은 교섭하고, 운동은 변화하고, 량은 침투한다.
-
세상은 사물의 집합이 아니라 사건의 복제로 되어 있다.
-
사건은 기승전결로 진행하여 가는 시간적 진행순서가 있다.
-
하나의 사건은 다섯 개의 매개변수로 이루어진다.
-
각각의 매개변수는 대칭이다.
-
하나의 사건은 다섯 개의 대칭으로 조직된다.
-
질은 닫힌계를 중심으로 안과 밖의 대칭을 이룬다.
-
입자는 축을 중심으로 한 점이 전체를 대표하는 축과 나머지 전체의 대칭이다.
-
힘은 축의 이동으로 각운동량을 일으켜 공간의 방향을 튼다.
-
운동은 축의 이동의 반복으로 시간적 지속이다.
-
량은 계의 해체와 이탈이다.
-
질에서 량으로 갈수록 사건의 범위가 좁혀진다.
-
질은 입자를 포함하고, 입자는 힘을 포함하고, 힘은 운동을 포함하고, 운동은 량을 포함한다.
-
질은 입자의 원인이고, 입자는 힘의 원인이고, 힘은 운동의 원인이고, 운동은 량의 원인이다.
-
질은 입자를 포함하고, 입자는 힘을 포함하고, 힘은 운동을 포함하고 운동은 량을 포함하므로 각각의 매개변수 사이에 시간차는 없지만 외부의 것에 대입하여 관측하면 시간순서대로 인간에게 관측된다.
-
의사결정비용 곧 엔트로피에 따라 질에서 량으로 갈수는 있어도 그 역의 진행은 없다.
-
질량보존의 법칙은 의사결정비용의 문제를 편의로 생략한 것이다.
-
인간의 인위적인 행동은 인간이 사전에 비축해둔 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의사결정비용문제가 고려되지 않지만 자연에서 저절로 일어나는 일은 의사결정비용 문제가 크게 부각된다.
-
의사결정비용의 문제는 흔히 지속가능성의 문제로 말해지곤 한다.
-
의사결정비용에 의해 질에서 량으로 가면서 조금씩 에너지를 잃는다.
-
의사결정비용을 고려했을 때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작다.
-
의사결정비용이 고려될 때 완제품은 부품의 합보다 비싸다.
-
대중들의 잘못된 의사결정은 의사결정비용에 따른 절차적 문제를 합의로 해결하지 못하고 좌절한데 따른 것이다.
-
의사결정비용에 따른 존재의 비가역성에 의해 양질전환은 절대로 없으며 언제나 질에서 량으로 간다.
-
A사건의 량이 B 사건의 질이 되므로 닫힌계를 조직하지 않으면 양질전환이 일어나는 것처럼 착각된다.
-
양질전환이 관측될 경우 실제로는 2회의 에너지 입력에 따른 별개의 사건인데 관측자가 착오를 일으킨 것이다.
-
질은 에너지를 유도하고, 입자는 밸런스를 유지하고, 힘은 대칭을 드러내고, 운동은 호응을 드러내고, 량은 데이터를 제출한다.
-
차원은 밀도, 입체, 각, 선, 점의 5개 차원으로 나타난다.
-
질은 외부와의 충돌에 의해 척력이 인력으로 바뀌어 결합하며 계에 에너지를 끌어들인다.
-
입자는 외력의 작용에 대해 한 점이 축을 이루어 계 전체를 대표하여 외력으로부터 독립하며 이때 축과 나머지 전체가 대칭되며 이에 실패하면 깨져서 두 개의 사건이 된다.
-
힘은 축의 공간적 방향이동으로 각운동량을 일으켜 외력의 작용을 처리하며 이때 내부로 들어온 에너지가 다시 밖으로 나가게 되어 외부환경과 교섭한다.
-
운동은 외부환경과의 교섭이 시간적으로 지속되며 축의 이동이 시계추처럼 반복되고 이때 외부에서 변화가 감지되는 것이 운동이며 이전단계까지는 외부에서 변화가 관측되지 않는다.
-
량은 5회에 걸쳐 대칭을 조직해도 밸런스가 맞지 않을때 최종적으로 에너지가 계에서 이탈하여 외부대상에 침투한다.
-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친 세부적인 의사결정으로 에너지는 계에서 처리되어 외부로 이탈하며 자투리 에너지들이 보통 열의 형태로 계에서 이탈하므로 열역학이 이 문제를 다루게 된다.
-
힘이 공간의 대칭으로 나타나고 운동이 시간의 호응으로 나타나는 것은 외부 관측자의 기준으로 그러한 것이며 에너지 작용대상에 반영되는 것이 그러할 뿐이며 실제로는 동시에 작용한다.
-
공이 배트에 맞는다면 공에 가해진 에너지가 배트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힘은 공간을 연출하고, 운동은 시간을 연출할 뿐 에너지 그 자체는 공간이나 시간과 무관하다.
-
에너지 작용이 시공간과 무관하다는 것은 순구한 의사결정 그 자체에 있어서는 시공간의 크기가 완전히 무시된다는 의미다.
-
큰 배가 침몰해도 그 의사결정은 한 순간에 완전하게 일어나며 배가 매우 크다면 천천히 넘어가지만 의사결정은 이미 완전히 끝나 있다.
-
천칭저울이 기울어진다면 거대한 저울을 만들어놓고 천천히 기울게 할 수 있지만 1밀리라도 저울이 움직였다면 이미 의사결정은 끝난 것이며 조금 기울었다고 해서 의사결정이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