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밀도를 볼 수 있다.

    밀도를 나타내는 질량이 같으면 부피를 보고, 부피가 같으면 너비를 보고, 너비가 같으면 길이를 보고, 길이가 같으면 숫자를 센다. 밀도가 가장 우선하는 판단이다. 보통은 그 반대로 점을 세려 하므로 망한다. 혹은 입체부터 시작하므로 망한다. 계에 중첩에 의한 긴장이 걸린 정도를 보고 밀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고객충성도를 알 수 있고, 정치인에 대한 지지의 강도까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열렬지지층을 알 수 있습니다. 가속도를 아는 자가 천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안철수와 반기문의 중도표는 언제든지 등돌 릴 수 있는...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10-22 17:30

  • 매개변수를 포착하라.

    **매개변수를 포착하라.** ◎ 점은 한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선은 두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각은 세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입체는 네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밀도는 다섯 지점을 늘일 수 있다. 매개변수는 1에서 5까지 있다. 다섯째 지점을 늘이면 형태가 깨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 물체가 충돌하는 순간에만 밀도를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로 보면 그것은 언제나 있다. 입체는 사면체가 되고 이에 중심점이 생기므로 외부에 대해 대칭된다. 밀도는 안과 밖의 대칭을...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10-21 19:28

  • 최순실 도망치고 박근혜 뒤봐주고

    최순실 도망치고 박근혜 뒤봐주고 사실이지 도망친 사람은 최순실이 아니라 박근혜다. 조회수 올리려고 최순실 이름 석자를 제목에 넣어뒀을 뿐이다. 박근혜보다 최순실이 더 인기가 있잖아. 더 서열이 높잖아. 어제 구조론연구소 하루 방문자가 3909명이니 간만에 흥한다. 이게 다 미륵서원을 세운 덕분이다. 서원을 세우지 않으면 범부중생으로 그치고, 서원을 딱 세워두면 미륵이 된다고 하더라. 최서원을 매우 세워라! 하여간 나라면 쪽팔려서라도 최순실 잡아들인다. 창피하지도 않나? 행여나 봐준다는 오해를 사지 않도록 측근의 비리는 더욱 엄격하게 처리하는게 한국의 전통이다. 어떻게 친구를 도망치게 해...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10-21 11:25

  • 구조를 복제하라.

    에너지는 서로 거리가 떨어져 있으면서 점차 좁혀지는 것입니다. 완전히 딱 붙어버리면 엔트로피 증가와 함께 에너지가 사라집니다. 그러나 주변환경이 끝없이 그대를 흔들어 떼어놓습니다. 당신은 불친절하고 성가신 환경 속으로 과감하게 걸어들어가야 합니다. 당신은 여행을 떠나야 합니다. 당신은 자연 속으로, 세계 속으로, 내면 속으로, 세상 속으로, 역사 속으로 풍덩 뛰어들어야 합니다. 그럴 때 당신의 연주는 끝나지 않게 됩니다. 상호작용의 게임이 끝날 때가 바로 당신이 죽는 때입니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10-20 18:50

  • 상대성이 절대성이다.

    쉽다. 구조론이 어렵다고 여기는 사람은 뭔가 근본에서 뒤틀려 있다고 봐야 한다. 위상位相의 위는 위치, 상은 서로이니 서로간의 상대적인 위치다.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닫힌계를 설정하는 문제를 담고 있다. 닫힌계 바깥의 간섭을 배제하는 논리장치다. 세상은 상호작용과 인과작용으로 작동한다. 인과작용에 대해서는 근대과학이 충분히 규명하고 있다.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먼저 게임의 규칙을 정해야 한다. 무엇인가? 많은 일들은 지구라는 환경 안에서 일어난다. 즉 외부로부터 간섭받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과는 왜곡된다. 외부환경의 간섭을 배제했을 때 판단기준은? 축구는 심판이 판단하고 관객이 판단하지만 심판도 없고 관객도...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10-19 20:18

  • Previous Page
  • 114
  • 115
  • 116
  • 117
  • 118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