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구조주의 심리학

    1) 마음은 삶의 에너지다. 2) 삶의 동기부여가 에너지다. 3) 마음이 업되는 것이 에너지다. 4) 인간은 행복이 아니라 에너지를 원한다. 5) 에너지가 흥분하고 집중하고 설레이게 한다. 6) 마음은 밖으로 집단의 의사결정구조와 연결된다. 7) 안으로 마음의 여러 요소들을 연결하여 정렬시킨다. 8) 사건 안에서의 권리, 권력의 형태로 집단과 연결된다. 9) 사건의 기승전결에서 기起 포지션에 서는 것이 권權이다. 10) 사건의 앞단계가 뒷단계를 지배하는 힘의 행사가 권력이다. 11) 인간은 언제나 집단의 의사결정 중심을 바라보도록 되어 있다. 12) 가족이나 국가 뿐...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10-02 23:35

  • 언어에는 언어가 없다

    **언어는 의미가 아니라 맥락이다.** 언어 뿐만이 아니다. 그림이든 회화든 영화든 시든 마찬가지다. 뭔가 의미를 찾으려고 하는 행태는 무식하기 짝이 없는 짓이다. 고흐의 그림에 무슨 의미가 있지? 의미가 있으면 안 된다. 의미가 없기 때문에 걸작인 것이다. 물론 전혀 의미가 없다고만 볼 수도 없다. 왜냐하면 인간은 언어의 의미를 다양하게 부여하기 때문이다. 의미없는 의미도 있는 것이다. 원래 언어의 의미가 포괄적이기 때문에 딱 규정하면 안 된다. 그런데 의미가 뭐지? 문제는 원자론적 관점이다. 원자론은 곧 집합론이다. 작은 것이 모여서 큰...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10-02 15:11

  • 왜 한중일미독인가?

    왜 한중일미독인가? 세계에 수백 개의 나라가 있지만 제대로 하는 나라는 한중일미독 다섯 뿐이다. 유태인들을 끼워줄 수도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선민의식이 있다는 것이다. 하기야 선민의식이 없는 나라가 있겠는가? 그것을 어떻게 디자인하느냐가 중요하다. 역사의 근본은 의사결정구조다. 의사결정구조는 상호작용의 원리에 맞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그런데 인간은 원래 지독하게 말 안 듣늗다. 하여간 죽어보자고 말을 안 듣는다. 안 되는 나라가 안 되는 이유는 말을 안 들어서 그런 것이다. 수십 개의 정당이 난립해 탄핵을 주고받는 브라질을 난맥상을 보면 알 수 있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10-01 12:04

  • 세상은 마이너스다.

    세상은 마이너스다. 구조론은 구조로 설명한다. 구조는 의사결정구조다. 의사결정은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일방작용이면 에너지의 손실로 붕괴하기 때문이다. 세상은 마이너스다. 척력은 있어도 인력은 없으며 나갈 수는 있어도 들어올 수는 없다. 이것이 엔트로피다. 모든 작용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그러나 우리는 일상적으로 많은 플러스를 목도한다. 이는 전체가 아닌 부분을 관찰하기 때문이며 누군가 이득을 얻었다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반드시 누군가는 손해를 보았다. 이 점을 포착하려면 닫힌계를 지정해야 한다. 닫힌계 안에서 상부구조의 마이너스가 하부구조의 플러스로 나타나며 이때 통제가능한 부분은 마이너스이고 플러스 부분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10-01 11:01

  • 이것이 진짜 한국사다

    구조주의 역사학 한국사 1) 한국의 의사결정구조는 무엇인가? 2) 한국식 의사결정구조의 보편성은 무엇인가? 3) 의사결정구조로 보는 것이 올바른 역사관이다. 4) 국사 이해의 핵심은 식민사관과 싸우는 데 있다. 5) 식민사관은 다윈주의에 오염된 인종주의 역사관이다. 6) 한국인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환빠사관이 식민사관이다. 7) 우월성과 열등함을 비교하는 행태가 바로 식민사관이다. 8) 식민사관을 벗어나서 객관적인 관점을 제시한 사람은 없다. 9) 민족주의는 한국사의 역동성과 활력을 부정하는 식물사관이다. 10) 역사를 승자와 패자로 나누는 관점이 인종주의적 식민사관이다. 11) 식민사관은 한국사를 실패한 역사로 규정하고 실패원인을...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9-29 17:50

  • Previous Page
  • 120
  • 121
  • 122
  • 123
  • 124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