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모든 이야기의 이야기

    모든 이야기의 이야기 모든 것은 이란고원에서 시작되었다. 이란의 국명은 아리안이다. 백인종 곧 코카서스 인종의 뿌리라 할 것이다.아리안의 일파가 인도로 들어가면서 인류가 사방으로 흩어지기 시작했다. 어원을 추적하면 드러나는 바 트르크제어와 인구제어가 본래 하나의 뿌리에서 갈라졌다는 것이 최근의 학설이다. 그 분기가 일어난 지점은 인도서북지역이다. 상업이 출현하자 어휘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으며 문법이 형성되고 언어가 갈라졌다. 같은 코카서스 인종들 간에도 어순이 제각각인 것을 보면 문법은 유목민대이동 이후에 생겨난 것이다.여기서 농경민과 유목민의 갈등이 있었는데 농경민신은 아수라 곧 짜라투스트라의 아후라 마즈다에 해당된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9-29 13:51

  • 구조주의 역사학 세계사

    **구조주의 역사학 세계사** 1) 역사는 살아있다. 2) 역사 자체의 논리가 있다. 3) 자체의 계속 가는 생명성이 있다. 4) 역사는 인류와 환경간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5) 상호작용은 집단의 의사결정구조를 필요로 한다. 6) 대칭을 이루고 서로 대등해져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7) 균형이 깨져 대등해지려는 복원력이 역사의 동력원이다. 8) 상호작용의 전제조건인 이동가능성이 역사발전의 핵심이다. 9) 역사의 의미는 합리적인 의사결정구조를 건설했는지에 있다. 10) 인간은 원래 말을 안들으며 말듣게 하는건 고도의 기술이다. 11) 물리적 상호작용 형태가 도출되어 말 듣는게 의사결정구조다. 12) 역사의...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9-28 14:51

  •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구조주의 미학 1) 미는 완전성의 추구다. 2) 완전한 것은 복제하여 전달한다. 3) 모든 외부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아름답다. 4) 미는 인간의 뇌를 긴장시켜 반응을 끌어낸다. 5) 어떻게든 반응했다면 거기에 최소한의 미가 있다. 6) 반응은 또다른 반응을 낳아 연결시키며 맥락을 이룬다. 7) 상호작용이 방향성을 얻어 계속 가게 세팅하는게 미학이다. 8) 곱고 아름답고 황홀한 느낌이 들어도 방향성이 없으면 가짜다. 9) 마약으로 미적 황홀감을 얻을 수 있지만 방향성이 없으니 가짜다. 10) 큰 틀에서 현대의 계속 가는 방향성은 모더니즘으로 정해져...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9-27 14:42

  • 죽음은 무엇인가?

    죽음은 무엇인가?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 하도록 세팅되어 있다. 디폴트로 정해져 있다. 반면 개미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하도록 되어 있으니 두려워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동시에 훈련된 지도자는 죽음을 극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죽음을 극복하는 것이 또한 자연스럽다. 죽음을 경험할 수는 없다. 탄생을 경험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자궁 속에서 어떻게 살그머니 빠져나왔지를 설명하는 사람을 나는 본 적이 없다. 탄생과 죽음은 인생에서 일어나지 않는 사건이다. 어차피 있지도 않은 것을 신경쓴다면 터무니없다. 차라리 외계인의 침략이나...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9-27 12:54

  • 신의 존재에 대한 견해들

    신의 존재에 대한 견해들 ◎ 무신론 : 신은 없다. ◎ 유신론 : 신이 세계를 창조하고 직접 세계에 개입하고 있다. ◎ 이신론 : 신이 세계를 창조한 뒤에는 직접 세계에 간섭하지 않는다. ◎ 범신론 : 신이라는 단어를 쓰지만 신은 물리법칙과 동의이음어다. ◎ 불가지론 : 저 너머에 진리가 있으며 우리는 언젠가 그것을 알 수 있겠지만 당분간은 알지 못한다. 맞는 분류인지는 모르겠으나 대략 이렇게 볼 수 있다. 다신교나 애니미즘 따위 잡다한 것은 논외다. 구조론은 의사결정원리 중심으로 사유한다. 보통은 원자론...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9-27 11:27

  • Previous Page
  • 121
  • 122
  • 123
  • 124
  • 125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