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환경이 역사를 결정한다

    **환경이 역사를 결정한다** 앞에서 논한 것은 우주는 물질이 아닌 사건이며, 모여서 이루어진 집합이 아니라 흩어져 이루어진 족보이며, 그러므로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각자 환경에 맞는 의사결정구조를 가진다. 생명의 진화와 역사의 진보 역시 환경이 결정한다. 최초에 지구환경은 단순했고 점차 복잡해졌다. 복잡한 환경이 생명의 진보를 촉발했고 생명의 진보가 다시 환경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이것이 상호작용이다. 역사 또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결정한다. 지정학적 환경이 중요하다. 아프리카가 가난한 이유는 더워서다. 알래스카의 이누이트가 가난한 이유는 추워서다. 아프리카 환경과 알래스카 환경은 단순하다. 반면...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8-09 23:28

  • 노무현의 포퓰리즘 다시보기

    노무현의 포퓰리즘 다시보기 http://www.podbbang.com/ch/7064 노무현이 뜨는 이유는 노무현이 한국인의 자존심을 세웠기 때문입니다. 노무현이 우리가 가야할 방향을 일러줬기 때문입니다. 노무현의 FTA에 트럼프가 화를 내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인의 반은 삼성폰을 씁니다. 유엔사무총장은 노무현이 임명했습니다. 노무현의 그 길이 틀렸던 길이 아닙니다. 담대함이 없는 좌파들이 겁이 나서 가지 못하는 길입니다. 우리는 패권의 길로 가야 합니다.

    컬럼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8-09 18:52

  • 인간은 왜 잘생겼을까?

    **왜 인간은 잘생겼을까?** 이 그림을 보고 위화감을 느껴야 한다. 딱 봐도 어색하지 않은가? 자빠질 것 같지 않은가? 그러나 이 그림을 보고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을 나는 본 적이 없으니 내 눈에 보이는 것이 그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는 말인가? 유인원과 인류의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목의 굵기다. 나무에 매달리려면 두 손을 써야 한다. 남는 손이 없으므로 입이 앞으로 돌출해야 한다. 그 경우 머리를 지탱하려면 목이 굵어야 한다. 침팬지든 고릴라든 오랑우탄이든 목이 굵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인간은 목이 가늘고...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8-08 23:08

  • 역사는 진화의 역사다

    역사는 진화의 역사다 왜 역사를 하는가? 족보가 있기 때문이다. 무엇인가? 우리는 그룹이 아니다. 집합이 아니다. 오른팔과 왼팔은 그룹이 아니다. 손가락 다섯은 갈래이지 그룹이 아니다. 길은 길과 연결된다. 길은 그룹이 아니다. 네트워크는 뭉쳐있지 않으니 그룹이 아니다. 존재는 물질이 아니라 사건이며 집합된 것이 아니라 전개된 것이다. 우리는 모아보는 집합의 논리, 그룹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틀렸다. 풀어보는 전개의 논리, 갈래의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그래서 역사하는 것이다. 세상은 뭉쳐 있지 않으니 에너지는 뭉친데서 나오지 않고 실타래가 풀리듯 술술 풀어지는...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8-08 19:06

  • 태초에 무엇이 있었는가?

    **태초에 사건이 있었다** 태초에 사건이 있었다. 사건의 의미는 구조의 복제에 있다. 우리는 시간과 공간과 물질을 알고 있지만 실재로 보면 오직 사건이 있을 뿐이니 사건은 스스로를 복제한다. 원본과 복제본의 관계로 세상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세상은 개별적인 존재자들이 모여 하나의 집합을 이룬 것이 아니라, 하나의 근본에서 갈라져나온 여러 갈피들이다. 복제본이 멀리가지 못하고 원본 주변에 자리잡으니 모여있는 것처럼 보일 뿐 모이지 않았다. 우주는 고르게 흩어져 있다. 시간과 공간과 물질은 그 사건의 변화를 보는 방법이다. 시간과 공간은 늘어놓고...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8-07 23:30

  • Previous Page
  • 132
  • 133
  • 134
  • 135
  • 136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