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노자가 중국을 죽였다

    도덕경 해설에 추가된 일부입니다. 도덕경 원문을 뺐으므로 헷갈릴 수 있습니다. 어차피 같은 패턴이 지루하게 반복되는 노자 이야기야 다 아는 것이니 읽어보시길. ### 약자의 방어논리로는 유의미하다. 서로 역할을 분담하고 건드리지 않을 선을 존중하기로 하면 시스템이 잘 돌아간다. CEO가 직원을 쓰되, 믿지 않으면 쓰지 말고, 쓰면 의심하지 말아야 한다. 간부는 부하직원의 모니터를 훔쳐보지 말아야 한다. 설사 직원이 야동을 보더라도 모른체 해야 한다. 그런데 비상시에도 이런 식으로 하다가는 망한다. CEO가 믿으면 직원이 공금을 횡령하고 배임을 저지른다. 상사가 지켜보지...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6-01 19:11

  • 식민사관은 인종주의다

    **식민사관은 인종주의다** 역사라고 하면 흔히 위정자의 업적과 잘못을 논하여 후세에 교훈을 남기는 것으로 되어 있다.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지 말자는 식이다. 초딩 바른생활 역사관이라 하겠다. 역사가 ‘이순신 좋아. 원균 나빠.’ 하는 수준에서 놀면 안 된다. 도덕주의 관점, 선악구도의 관점을 버려야 한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피아를 구분하여 대칭구도를 만든다. 그래야만 의사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부족민의 원시본능을 극복해야 한다. 역사는 소통에 의해 진보하며 전쟁도 그러한 소통의 일부다. 전쟁도 없는 지루한 역사보다는 차라리 전쟁의 활력이라도 있는 것이 낫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5-31 21:25

  • 깨달음은 언어다

    **깨달음은 언어다** 언어는 두 가지 용도가 있다. 하나는 자연을 관찰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뇌에 저장한다. 외부의 정보를 내게로 가져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그 정보를 표현하고 전달한다. 내부의 정보를 밖으로 내보내는 것이다. 이 둘은 모순된다. 입력과 출력으로 방향이 반대다. 당연히 헷갈린다. 인간의 언어는 원래 불완전하다. 이 문제를 해결한 언어는 없다. 언어는 불편을 감수하면서 그럭저럭 써야 하는 세련되지 못한 도구다. 그래서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는 깨달음이 필요하다. 한국어는 형용사가 특히 발달해 있다. 형용사는 동사의 변종이니 한국어는 동사가 발달한 것이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5-31 17:07

  • 중국을 망친 노자

    지난번에 봤던 노자의 도덕경을 다시 검토하며 성聖을 끊고 지智를 버리면 백성의 이익이 백배다. 인仁을 끊고 의義를 버리면 백성은 효孝와 사랑慈으로 돌아온다. 기술을巧 끊고 이익利을 버리면 도적이 없어진다. 이 세 가지는 만들어낸 인간의 문화이므로 부족하다. 그러므로 근본을 드러내어, 바탕을 보고 소박함을 끌어안아서 개인의 작은 욕심을 줄여야 한다. ### 문제는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거다. 그 사회가 경쟁된다는게 치명적이다. 다른 집단이 성과 지로 무장하고 침략해 오므로 우리 집단도 성과 지로 무장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성과 지를 끊으려면...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5-30 21:25

  • 사랑 113, 노자는 공자의 실무자다.

    공자의 인의를 깨달은 자만이 노자의 무위를 실천할 수 있다. 바늘 없는 실은 꿰지 못하고, 실 없는 바늘은 가지 못한다. 바늘이 머리고 실은 꼬리다. 공자가 바늘이면 노자는 실이다. 실이 더 쓸모있어 보인다. 왜냐하면 당신은 하급실무자이기 때문이다. [생각의 정석 113회] 절대주의와 상대주의, 합리주의와 실용주의,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면 상대주의, 실용주의, 보수주의로 빠지는게 인간이다. 나이가 들수록 그러한 경향은 심해진다. 인간은 약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강해지려면 팀에 들어야 한다. 팀에 들 기회는 젊은이에게만 주어진다. 그러므로 젊은이는 보다 진보적이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5-30 10:50

  • Previous Page
  • 148
  • 149
  • 150
  • 151
  • 152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