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사랑 64, 지성은 호랑이를 이긴다

    산에서 호랑이를 만났다면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호랑이에게 달려들면? 죽는다. 당신은 호랑이보다 약하기 때문이다. 호랑이로부터 도망치면? 역시 죽는다. 당신은 호랑이보다 빠를 수 없기 때문이다. 마사이족 사냥꾼처럼 태연하게 다가가서 사자의 먹이를 빼앗아 오는 것은 불가능하다. 만약 경험한 적이 없는 상황에서 태연히 그리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깨달은 사람이다. 그는 진리라는 호랑이와 싸워본 적이 있는 거다. [생각의 정석 64회] 맹수들은 조심성이 많으므로 경험한 적이 없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 사람을 잡아먹어본 경험이 있는 식인호랑이가 아니면 함부로 사람을...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3-01 11:19

  • 중국을 망친 손자병법

    1956년 중국은 공산당의 나아갈 길을 찾는다며 ‘백화제방, 백가쟁명’을 표방하고 자유로운 토론을 장려하는 ‘쌍백운동’을 전개하였다. 무제한으로 주어진 언론의 자유에 고무되어 공산당의 실정을 비판한 사람은 모두 체포되었다. 모택동이 기습적으로 ‘반우파운동’을 벌여 수십 만명을 잡아들인 것이다. 이후 대약진운동과 문화혁명의 잇다른 실패에도 불구하고 농촌의 참상을 있는 그대로 보고하는 공무원은 없었다. ‘말하면 죽는다.’는 규칙이 만들어진 거다. 각종 병법에 통달한 모택동이 ‘숲을 건드려 뱀을 찾는다.’는 타초경사打草驚蛇의 계를 실행한 것이라고도 한다. ‘타초경사’는 병법서인 ‘36계’ 중의 13계다. 36계는 손자병법을 비롯한 각종 병법을 토대로...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2-29 19:38

  • 공자 끝, 말을 알아야 사람을 안다

    제 19편 자장子張 논어 제 19편 자장은 제자들의 언행으로 건질만한 것이 없다. 하나같이 말할 줄 모른다. 시詩처럼 운을 맞추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자가 운을 맞출 수 있는 것은 시를 공부했기 때문이다. 시는 대칭을 통해 긴장을 일으키고 각운을 통해 풀어낸다. 모든 예술은 대칭을 쓴다. 대칭은 뇌를 긴장시킨다. 집중하게 한다. 깨달음은 그 가운데 있다. 자공이 말하길 “은나라 마지막 주왕의 악함은 그처럼 심하지 않았다. 그래서 군자는 강물의 하류에 거처함을 경계한다. 천하의 모든 악이 그리로 모여들기 때문이다.” 18번이나 수도를 옮긴...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2-29 11:08

  • 사랑 63, 개는 깨달을 수 없다

    개는 절대로 사람이 될 수 없다. 깨닫지 못한 사람은 영원히 깨달을 수 없다. 깨달음은 원래 사람인데 자신을 개로 착각하여 개짓하고 사는 사람을, 다시 본래의 어엿한 사람으로 되돌려놓을 뿐이다. 원래 깨달음이 갖추어 있는데, 헷갈린 사람을 제 위치로 돌려줄 뿐이다. 구조론은 원래부터 존재하여 있는 것을 가져다 쓴다. 잘 살펴보면 굉장히 많은 것이 원래부터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원래 부자다. 단 쓸 줄을 몰라서, 써 본 적이 없어서, 곳간에 금을 쟁여놓고도 그동안 딴짓을 하고 있었던 거다....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2-29 10:37

  • 역사는 유목민이 만들었다

    **주나라의 봉건제도 발명** 미국이 건국할 때 뉴욕주변 인디언의 ‘라코다’를 모방하여 헌법을 제정한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라코다는 5개 모계부족의 평등한 연맹체다. 라코다는 서쪽으로 가서 발음이 ‘다코다’가 되었는데 미국 지명에 반영되어 있다. 서부로 이동한 수족이 중서부에서 강력한 다코다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건국은 그냥 되는게 아니고 반드시 모델이 있어야 한다. 14개 주가 모여서 일종의 라코다를 이룬 것이 미합중국의 탄생이다. 라코다에 속하는 부족은 다시 5개의 작은 그룹으로 갈라지는게 보통인데, 그 중에 한 그룹이 강성하면 다시 다섯 개의 작은 집단으로...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6-02-27 19:34

  • Previous Page
  • 174
  • 175
  • 176
  • 177
  • 178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