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 대문
  • 시사컬럼
  • 깨달음의 대화
  • 안내

구조론

관계로 세상을 바라본다.

Featured Posts
  • 진리란 무엇인가?

    진리란 무엇인가? 유교의 중용사상에는 성性도道교敎 개념이 있다. 존재의 본성에서 인간이 마땅히 가야할 도가 나오고, 그 도를 받아들이는 것이 교다. 자연의 법칙을 인간이 본받는다는 이야기다. 자연과 인간의 대칭성을 보고 다시 대립을 넘어 합일로 나아가기다. 대칭된 자연의 성과 인간의 교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것은 도다. 중용의 도에 의한 성과 교의 합일이 이루어진다. 이는 한 가지 사유의 모형이다. 이후 무수히 복제되는 패턴이다. 동중서의 천인감응설을 연상할 수도 있다. 성도교 개념을 적극적으로 해석해서 텔레파시 같은 것으로 인간이 하늘과 직통할 수 있다는...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5-12-16 17:40

  • 사랑의 정석 13회

    이런 연습이 필요합니다.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음식을 맛있게 먹어보기. 싫어하는 음악을 크게 틀어놓고 즐거운 마음으로 들어보기. 싫어하는 사람을 찾아가서 먼저 인사 해보기. 하루 종일 혹은 일주일간 아무 계획 없이 즉흥적인 삶을 살아보기. 아무 방향으로나 대략 일직선으로 끝없이 걸어가보기. 깊은 밤중에 공동묘지에 가보기. 실내에서 발가벗고 생활해보기. 통증이 아니라 쾌감이라고 생각하며 매를 맞아보기 [생각의 정석 13회] 인생은 게임이다. 첫 번째 게임은 내가 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왜냐하면 게임의 룰을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게임도 내가 지도록 설계되어...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5-12-16 16:23

  • 사랑의 정석 12회

    교학사가 만든 이른바 역사교과서, 사실은 역사발명서의 논란에 구조론은 답합니다. 조선왕조 500년은 근대화에 실패한 불운의 역사가 아니라 삼봉 정도전이 던질 질문을 조광조와 퇴계, 율곡, 정여립과 송시열이 이어받아 이상국가를 만들려는 거대한 도전이었습니다. 조선인은 중국인이 되기를 거부하며 우리만의 의사결정구조 곧, 선비집단의 공론으로 움직이는 정치 시스템과 거기에 맞는 독자적인 미학을 일구어냈습니다. 아직도 당나라 옷을 입고 한자를 쓰는 일본과 달리 우리는 한복을 디자인하고 한글을 만들어냈습니다. 조선의 국가컨셉을 이해하지 못한 채 남의 눈을 빌어, 그것도 일본 주인님의 시선으로 역사를 보는 한...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5-12-15 18:35

  • 깨달음은 패턴복제다

    깨달음은 패턴복제다 깨달음은 자연의 패턴을 복제하는 능력이다. 인간의 패턴복제 능력은 언어능력에서 두드러진다. 세 살 아기도 말을 척척 알아듣는 것은 인간의 선천적인 복제능력 덕택이다. 패턴복제가 가능한 이유는 자연이 의사결정원리로 대칭구조를 쓰기 때문이다. 대칭은 짝짓기다. 짝을 짓다보면 이미 구조가 복제되어 있다. 자연의 모든 의사결정 지점에 포착해야 할 특별한 구조가 숨어 있다. 그런데 인간은 다섯 살이 넘으면 말을 다 배워서 선천적인 복제능력을 폐기해 버리므로 자연의 숨은 구조를 포착해내지 못한다. 설사 구조를 포착했다 하더라도 자신과 타인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의 호환문제에...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5-12-15 17:01

  • 사랑의 정석 11회

    당신이 어떤 시를 쓰든, 소설을 쓰든, 그림을 그리든, 음악을 하든 반드시 시대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어야 하며, 그 안에는 시대의 고통이 반영되어 있어야 합니다. 시대의 아픔이 나이테처럼 기록되어 있지 않은 문학은, 시는, 소설은, 디자인은, 패션은, 영화는, 드라마는 가짜입니다. 아름답지도 않고 완전하지도 않습니다. 짝지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엄마를 잃은 아이와 같고, 물 밖으로 나온 물고기 같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응답하십시오. 세상이 던진 질문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생각의 정석 11회] 철학은 질문을 던지고, 과학은 문제를 풀고, 미학은 응답한다. 진리는 본래...

    깨달음의대화

    drkim's profile image

    drkim

    2015-12-14 23:06

  • Previous Page
  • 202
  • 203
  • 204
  • 205
  • 206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twitter
  • rss
  • Gujoron

Copyright © Gujoron Corp. All rights reserved.